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930. 7. 29, 미국 펜실베이니아 윌킨스버그 |
---|---|
국적 | 미국 |
요약 미국의 현대무용가·안무가.
자신의 무용단을 위해 안무한 창의적이며 해학적이고 냉소적인 춤으로 유명하다.
1947년 시러큐스대학교에 수영과 회화 분야 장학생으로 입학했으며 1951년부터 무용을 시작했다. 뒤이어 마사 그레이엄, 도리스 험프리, 호세 리몽에게 현대무용을, 앤소니 튜더, 마거릿 크래스크에게 발레를 배웠다.
1953년 마사 그레이엄 무용단에서 직업 무용수로 활동하기 시작했고 마사 그레이엄의 작품 〈클리템네스트라 Clytemnestra〉(1958)에서 아이기스토스, 〈알케스티스 Alcestis〉(1960)에서 헤라클레스, 〈파이드라 Phaedra〉(1962)에서 테세우스 같은 중요한 역들을 맡았다. 또한 찰스 와이드먼, 머스 커닝엄을 비롯한 다른 현대무용 안무가들의 작품에도 출연했다. 그는 안톤 베버른의 음악에 조지 발란신과 그레이엄이 안무한 〈에피소드 Episodes〉(1959)에서 발란신이 그를 위해 안무한 독무를 추었다.
안무가로서 그는 다양한 동작 스타일들을 폭넓게 활용했는데, 이 가운데 몇 가지를 평면(2차원적으로 보이는 것)·휘갈김(형체나 선보다 움직임을 강조하는 것)·서정('긴 팔 동작')이라고 불렀다. 그의 전위적인 작품영역은 자신과 파트너가 4분 동안 꼼짝도 않는 〈2인무 Duet〉(1957)로부터 베토벤의 마지막 현악 4중주곡에 따라 1시간 동안 펼쳐지는 〈천체 Orbs〉(1966)까지 다양하다.
그는 〈3개의 비명 Three Epitaphs〉(1956)·〈후광 Aureole〉(1962)·〈스쿠도라마 Scudorama〉(1963)·〈짐승의 책 The Book of Beasts〉(1971)·〈산책길 Esplanade〉(1975)·〈룬스 Runes〉(1975)·〈분열된 왕국 Cloven Kingdom〉(1976)·〈색정광 Aphrodisiamania〉(1977)·〈점잔빼기 Airs〉(1978)·〈나이트셰이드 Nightshade〉(1979)·〈봄의 제전 Le Sacre du Printemps〉(1980) 등 유명한 작품을 만들었다. 〈후광〉은 파리 오페라 발레단과 덴마크 왕립 발레단 등 주요 발레단의 레퍼토리로 채택되었다.
테일러 무용단은 1954년 창설되어 보통 13명의 무용수로 운영되는데 1960년에 처음 유럽 순회공연을 했고 1965년에는 미국 국무부의 국제문화교류계획에 따라 남아메리카를, 1978년에는 소련을 순회했고 미국의 공공 텔레비전 방송에도 등장했다. 테일러는 이탈리아 스폴레토에서 열린 '두 세계' 축제를 위해 안무했고 권위 있는 상도 여러 차례 받았다. 1970년대에 공연 일선에서 물러났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국무용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