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테오필로스

다른 표기 언어 Theophilos
요약 테이블
출생 미상
사망 842. 1. 20, 콘스탄티노폴리스
국적 동로마

요약 동로마 황제(829~842 재위).

9세기에 일어난 비잔티움 지역의 학문부흥운동을 장려했으며, 아랍 침입자들에게 시달리는 가운데 동방교회의 성상파괴운동(Iconoclasm)을 옹호한 마지막 인물이다. 황제 미카일 2세의 아들로 전통적으로 성상파괴운동에 호의적인 프리지아 왕조 출신인 테오필로스는 비잔티움의 학자이자 열렬한 성상파괴운동 지지자인 요한네스 필로포누스로부터 자유롭고 개방적인 교육을 받았다.

또한 9세기초 바그다드의 칼리프인 하룬 알 라시드의 학구적인 분위기를 지닌 궁정을 보고 큰 감명을 받았다.

테오필로스는 820년 공동황제로 즉위했다가 얼마 뒤 테오도라와 결혼했으며, 829년 단독 황제의 자리에 오른 뒤에는 하룬 알 라시드를 모방해 평복을 입고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돌아다니며 국민들의 불평을 듣기도 했다. 행정과 재정 분야에 뛰어난 능력을 가졌던 그는 건축가와 기술자 들을 시켜 바이킹과 마자르족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요새를 구축함으로써 비잔티움 제국의 북쪽 방어선을 다졌으며, 이슬람교도들에 대항해 동쪽과 서쪽 국경 수비도 강화했다. 왜냐하면 테오필로스는 이슬람 문화에 대한 개인적인 관심에도 불구하고 통치기간 내내 이슬람교도들과 싸울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테오필로스는 칼리프 마문의 공격은 물리쳤으나 마문의 형제로 칼리프의 자리에 오른 알 무타심의 거센 반격을 받았다. 알 무타심은 콘스탄티노폴리스로 향하는 소아시아의 핵심적인 요충지들을 공격했다. 838년 7월 테오필로스는 다지몬(지금의 터키 다즈마나)에서 대혈전 끝에 패했다. 앙키라가 함락된 지 1개월 후 테오필로스의 왕조 본산지이자 제국의 주요요새인 아모리움이 알 무타심의 손에 떨어졌다. 그러나 이슬람 군대에 내분이 생기자 841년 스페인 출신 무어인들의 지원을 받아 아르메니아 접경지대에 있는 멜리테네를 점령해 알 무타심이 휴전에 응하게 만들었다.

테오필로스의 치세에서 성상파괴운동은 큰 위세를 떨쳤다. 그리스 정교회 수도원들의 정치적 영향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테오필로스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인 요한네스 필로포누스는 정교회의 성찬예배와 기타 전례에서 성상을 사용하는 성직자들을 박해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성상파괴운동은 곧 지지를 잃었고 대다수 그리스 정교회 성직자들도 정교회의 전통을 지키기 위해 궐기했다.

테오필로스가 정려한 비잔티움 문화부흥은 고전학 분야에서 2가지 중요한 발전을 이룩했는데 크기가 작은 필사 초서체가 좀더 큰 서체로 대체되었으며, 필경사 작업장(scriptoria)의 수가 늘어났다는 것이다. 테오필로스는 8세기 이후 쇠퇴하기 시작한 콘스탄티노폴리스대학을 재건하고 비잔티움의 유능한 교사이며 수학자인 레오를 새 총장에 임명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왕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테오필로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