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타이족

다른 표기 언어 Tai

요약 동남아시아 본토의 여러 종족.
Dai라고도 씀.

타이족(Thai)으로도 불리는 시암족(타이 중부와 남부), 라오족(라오스와 타이 북부), 샨족(미얀마 북동부), 루족[潞族 : 중국 윈난 성에 살지만 미얀마, 라오스, 타이 북부, 베트남 등지에도 거주 함], 윈난 타이족, 북베트남의 타이족을 포함하며, 모두 타이어를 쓴다. 인구는 타이의 4,506만 명, 라오스의 302만 명, 미얀마의 371만 명, 중국의 2,118만 명, 베트남의 약 279만 명을 포함하여 7,576만 명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타이족은 소승불교도이지만 집단에 따라 신앙형식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상좌부). 많은 타이족 부락에서는 와트(사원복합체 또는 수도원)가 사회적·종교적 중심지 구실을 한다. 대다수의 젊은이들은 일정기간을 승려생활로 보낸다. 불교적 전통과 함께 그 이전의 애니미즘도 잔존하여, 사당에서는 일상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정령들을 모시고 있다. 이러한 애니미즘적 요소는 타이 불교의 전통적인 중심지에서 멀어질수록 강하게 드러난다(→ 나트).

주요경제활동은 벼농사로 고지대에서는 밭벼를, 계곡에서는 논벼를 재배한다. 일반적인 타이족의 가정은 남편, 아내(또는 여러 명의 아내들), 미혼 자녀들로 이루어진다. 여자들의 지위는 높은 편이며 카스트 제도는 존재하지 않는다. 시암족이나 라오족처럼 독립국가를 구성하거나 타이족의 수가 적은 지역에서는 추장령을 구성하는 등 집단마다 차이가 있지만, 반자율적 부락이라는 기본적인 사회구조는 동일하다. 선출된 부락의 수장이나 수도승, 연장자들이 함께 부락을 다스린다.

타이족은 1세기에 양쯔 강[揚子江] 유역에 나타났으나 중국인에게 밀려 동남아시아 북부 각지로 퍼져나갔다. 현재 중국에 살고 있는 타이족으로는 윈난 성의 바이이족·루족·누족[怒族], 구이저우 성[貴州省]의 부이족[布依族], 광시좡족 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의 좡족[壯族] 등이 있다. 타이 문화의 독자성은 미얀마의 샨족, 타이의 시암족, 라오족 가운데 가장 강하게 남아 있다.

샨족은 미얀마 샨 고원 대부분에 걸쳐 살고 있지만 주로 자치적인 샨 주에 모여 있다. 전통적으로 이들은 신적인 군주의 통치를 받아왔지만 군주들은 현재 예전의 독립성을 모두 잃은 상태이다. 시암족은 타이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강이나 충적평야 지대에서 산다. 부락은 300~3,000명의 주민들로 구성되어 있다. 시암족은 대부분이 농촌에 거주하는 하층민이고 그 위에는 장인·상인·정부관리·승려 등이 있다. 라오족은 주로 메콩 강과 그 지류 주변에 살며 라오스 인구의 약 2/3를 차지한다. 북베트남에 사는 타이족은 소위 흑타이·백타이·적타이를 포함한다. 루족은 중국의 윈난 성 남부와 미얀마·타이·라오스의 인접지역에 살고 있다. 가옥은 2~2.5m 높이의 말뚝 위에 지어져 있다. 이들은 중국의 다른 지방에 사는 타이족보다 중국 문화의 영향을 덜 받았으며, 미얀마·타이·라오스의 타이족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타이족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