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킬라닌

다른 표기 언어 Michael Morris, 3rd Baron Killanin (of Galway)
요약 테이블
출생 1914. 7. 30, 런던
사망 1999. 4. 25, 아일랜드 더블린
국적 아일랜드

요약 아일랜드의 저널리스트·영화제작자·스포츠 행정가.

킬라닌(Michael Morris)

ⓒ Bert Verhoeff/wikipedia | CC BY-SA 3.0

대회 참가 거부와 국제적 논쟁으로 시끄럽던 시기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의 회장직(1972~80)을 수행했다. 모리스는 1927년에 숙부가 타계하면서 뒤를 이어 킬라닌 남작이라는 칭호를 부여받았다.

킬라닌은 1932년 파리에 있는 소르본대학교를 졸업하고 1935년 케임브리지대학교의 모들린 칼리지에서 학사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 〈런던 데일리 익스프레스 London Daily Express〉·〈데일리 메일 Daily Mail〉·〈선데이 디스패치 Sunday Dispatch〉의 저널리스트로 활동하면서 중·일전쟁을 취재했으며 정치적인 칼럼도 썼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자원입대하여 왕립소총부대에 들어갔는데 노르망디 상륙작전에서 일익을 담당한 공로로 영국으로부터 제5등 훈장(M. B. E.)을 받았다. 1945년에는 아일랜드로 돌아가 영화를 제작하여 성공을 거두었는데, 주목 받은 작품은 〈조용한 남자 The Quiet Man〉(1952)·〈떠오르는 달 The Rising of the Moon〉(1957)·〈서양의 플레이보이 The Playboy of the Western World〉(1963) 등이다.

킬라닌은 유머와 외교력으로 이름을 떨쳐 1950년에 아일랜드 올림픽 평의회 의장으로 임명되었고 2년 뒤에는 IOC 아일랜드 대표가 되었다. IOC 부위원장으로 있을 때인 1972년 뮌헨 올림픽 대회에서 테러리스트들이 이스라엘 팀 선수들을 살해한 사건이 일어난 며칠 뒤 에이버리 브런디지 후임으로 위원장이 되었다 (→ 검은 9월단). 재직 기간 중에는 올림픽 경기를 가능한 한 정치적 긴장과 국제적 이해관계로부터 분리시키려고 노력했다. 1979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후에도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대회의 개최지 이전을 거부해 60여 개국이 모스크바 올림픽 대회에 불참하는 사태를 빚었다.

킬라닌의 가장 큰 업적은 협상을 통해 중국을 올림픽 대회에 다시 참여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브런디지가 세워 놓은 아마추어의 엄격한 기준을 완화하는 데도 영향을 미쳤다. 1980년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에게 자리를 물려주면서 킬라닌은 IOC의 명예 종신 위원장이 되었다. 저서로 〈4일 Four Days〉(1938)과 〈나의 아일랜드 My Ireland〉(1987) 가 있고, 1983년에는 자서전 〈나의 올림픽 시절 My Olympic Years〉을 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작가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킬라닌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