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194. 7. 16, 스폴레토 공국 아시시 |
---|---|
사망 | 1253. 8. 11, 아시시 |
국적 | 아시시 |
요약
가난한 클라라회의 창설자이며 1255년 성인으로 추증되었다.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에게 깊은 영향을 받아 혼인하기를 거절하고 아시시 아래쪽에 있는 포르치운콜라 성당으로 도망했다(1212. 3. 18). 그곳에서 프란치스코는 클라라의 서원을 받았으며, 그로써 성 프란치스코의 2번째 수도회가 시작되었다.
'가난한 클라라회'는 곧 아시시 근처에 있는 산다미아노 성당과 수녀원을 사용하게 되었으며, 1216년 클라라는 대수녀원장이 되었다. 그녀의 가장 큰 관심사는 추기경이 수녀회에 준 베네딕토 수도회의 회칙 대신에 프란치스코의 정신을 담은 회칙을 갖는 것이었다. 그녀가 죽기 이틀 전 교황 인노첸시오 4세는 그녀가 작성한 회칙을 승인했다. 클라라회는 '완전한 가난의 특권'을 강조하여 수녀회 자체가 재산을 소유하는 것조차 금지한 것 외에도 사도적인 목표를 세운 것으로 유명하다.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에게 깊은 영향을 받아 부모의 뜻을 따라 혼인하기를 거절하고 아시시 아래쪽에 있는 포르치운콜라 성당으로 도망했다(1212. 3. 18). 그곳에서 프란치스코는 클라라의 서원을 받았으며, 그로써 성 프란치스코의 2번째 수도회가 시작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클라라를 따랐고, 그중에는 클라라의 어머니와 동생 성 아녜스도 포함되어 있었다. '가난한 클라라회'는 곧 아시시 근처에 있는 산다미아노 성당과 수녀원을 사용하게 되었으며, 1216년 클라라는 그곳에서 대수녀원장이 되었다.
클라라의 가장 큰 관심사는 추기경 우골리노(훗날 교황 그레고리오 9세)가 수녀회에 준 베네딕토 수도회의 회칙 대신에 프란치스코의 정신을 담은 회칙을 갖는 것이었다. 그녀가 죽기 이틀 전 교황 인노첸시오 4세는 그녀가 작성한 명확한 회칙을 승인했다.
클라라회는 '완전한 가난의 특권'을 강조하여 수녀회 자체가 재산을 소유하는 것조차 금지한 것 외에도 사도적인 목표를 세운 것으로 유명하다. 클라라는 수녀회의 참회기도 생활이 교회와 사회에 영적인 생명력을 준다고 생각했다. 클라라 덕분에 2번이나 파멸을 모면한 것에 고마워하던 아시시 주민들과 교황들은 이 견해를 받아들였다.
클라라가 아시시의 파멸을 막아준 첫번째 예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의 무어인 동맹군들이 공격해왔을 때 클라라가 수녀원 사제에게 부탁해 성체가 모셔진 성광을 들고 창 밖을 향하게 해 성벽을 공격하던 군대가 후퇴했던 일이다.
2번째 예는, 아베르사의 비탈레 장군이 이끄는 더 큰 군대가 아시시를 포위했을 때 클라라와 수녀들이 아시시 사람들을 위해 간절히 기도하자 큰 폭풍이 일어나 침략군들을 쫓아버린 일이다. 클라라는 살아 있을 때와 죽은 후에 다른 기적들을 일으켰다고 한다. 1958년 교황 비오 12세는 클라라가 죽기 전 병으로 누워 있을 때 아시시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산프란치스코 대성당에서 집전되고 있던 크리스마스 자정 미사를 기적으로 듣고 본 일을 두고서 그녀를 텔레비전의 수호자로 공포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종교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