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크로아티아-헝가리1868년 협정

다른 표기 언어 Croato-Hungarian Compromise of 1868

요약 크로아티아의 정치적 지위를 헝가리의 한 지역으로 규정했던 협정.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효력을 발휘했다. 1867년 대타협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탄생함에 따라 합스부르크 제국에 속해 있던 크로아티아는 슬라보니아와 합쳐져 헝가리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이 협정은 크로아티아를 헝가리 왕국의 일부분으로 명시하는 한편, 고유한 영토를 가진 별개의 정치 단위로 인정했다. 크로아티아인들은 독자적인 의회와 행정부를 구성할 수 있었으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는 이 지역의 공식어가 되었다.

협정의 규정에 따라 내부적으로 크로아티아는 상당한 자치를 누렸으나 크로아티아의 총독(ban)은 헝가리 총리의 지명으로 헝가리 국왕이 임명하게 되어 있었다. 또한 이중제국의 중앙정부에 진출하거나 헝가리 의회에 대표를 보내는 것 또한 제한당했다. 그결과 과세와 예산 문제를 비롯한 군사·외교 정책과 같은 중대한 이익이 걸린 문제에 대해서는 최소한의 조정권이 있을 뿐이었다.

여전히 강력했던 협정 반대 세력은 마침내 1871년 의회에 진출해 협정 무효를 주장하며 반란을 선동했다. 그러나 반란이 진압된 뒤 협정은 갱신되어,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존속했다. 제1차 세계대전 뒤 크로아티아는 헝가리에서 분리되어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연합왕국(나중에 유고슬라비아가 됨)을 구성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크로아티아-헝가리1868년 협정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