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쾨펜의 C형과 D형 기후

다른 표기 언어

개요

쾨펜의 C형과 D형 기후는 남북위 25~70°의 중위도와 고위도 가운데 주로 중위도 편서풍대에서 발생하는 기후이다.

상층 편서풍의 강풍대인 제트류는 계절에 따라 강도와 위치변화가 심하며, 이에 따라 다른 형태의 기후가 나타난다. 여름에는 극전선과 제트류가 극 쪽으로 이동하여 열대공기가 고위도까지 침투할 수 있다. 겨울에는 순환계가 적도 쪽으로 이동하여 극기류가 아열대지역까지 내려온다. 열대공기와 한대공기의 경계면인 극전선의 남북이동에 따라 기온이 다르게 나타나며, 전선을 따라 이동성 저기압이 발달한다.

대부분의 강수는 전선면을 따라 상승하는 공기에서 발생하는 전선성 강수와 열대기단 내에서 발생하는 대류성 강수이며, 극동 아시아 지역에서처럼 계절풍에 의해 산악지역에서 발생하는 지형성 강수도 있다. 아열대 대륙 서안의 기후는 아열대 고기압에 의해 설명된다(대륙성기후).

아열대습윤 기후(Cfa, Cwa)

이 기후는 남북위 20~35°의 대륙 동안에서 나타나며, 연강수량이 750~1,150㎜로 연중 비교적 일정한 분포를 보인다.

여름에는 저위도 해양에 위치한 아열대 고기압에서 불어오는 습한 해양성 기류의 영향으로 일평균기온이 27℃로 높으며 최고기온이 30~38℃에 이르는 무더운 밤이 된다. 대류성 뇌우에 의한 강수현상이 많으며 열대 저기압에 의한 강수도 가끔 있다. 겨울에는 극전선상에 위치한 저기압에 의한 강수가 있으며 기온은 5~12℃로 상당히 온화하다.

지중해성기후(Csa, Csb)

남북위 30~45° 범위의 대륙 서안에서는 덥고 건조한 여름과 시원하고 습한 겨울이 반복되는 특이한 기후가 나타난다.

여름에는 확장된 아열대 고기압의 극 쪽 경계에 들어 하강기류에 의해 맑은 날씨와 높은 기온을 나타내며, 겨울에는 아열대 고기압이 적도 쪽으로 이동하므로 이동성 저기압에 의한 강수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이 지역의 대륙 서안은 겨울철의 한랭한 대륙성 기단의 영향을 덜 받아 대륙 동안의 Cfa 기후에 비해 기온의 연교차가 작다. 지중해성기후는 강수량이 350~900㎜로 아열대습윤 기후에 비해 적으며, 특히 반건조 스텝 기후와 인접한 대륙 내부지역에서는 더 적다.

북아메리카의 남부 캘리포니아 지역에서는 시원한 여름이 나타나며 안개가 자주 발생한다. 단지 유럽에서만 지중해가 대륙 가운데 있어 해안에서 상당한 거리까지 Cs 기후가 나타난다.

서안해양성 기후(Cfb, Cfc)

지중해성기후의 극 쪽 지역인 남북위 35~60° 범위의 대륙 서안에는 연중 풍부한 강수가 있으며 아열대 고기압의 영향권에서 벗어나 항상 중위도 편서풍과 이동성 저기압의 영향을 받는다.

저기압의 세기와 위치에 따라 연중 강수량의 변화가 심하고 연강수량이 500~2,500㎜에 이르며, 편서풍이 해안의 산악을 넘는 지역은 5,000㎜가 넘는다. 강수 횟수도 많아 강수일수는 150일 이상이나 된다. 뇌우의 발생이나 열대 저기압의 영향은 적으나 겨울철에 돌풍과 안개 등이 자주 발생한다. 연평균기온은 7~13℃ 범위이며 시원한 여름과 온화한 겨울로 기온의 연교차가 같은 위도대의 대륙 동안보다 작다(10~15℃). 이 위도대의 북아메리카·남아메리카·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 등은 서안에 산악이 있어 Cfb나 Cfc 기후가 내륙 깊숙이 침투하지 못하나 유럽은 서안이 평지여서 해안에서부터 내륙 2,000㎞ 깊이에 있는 알프스 산맥까지 서안해양성 기후가 나타난다.

대륙성 습윤 기후(Dfa, Dfb, Dwa, Dwb)

북위 30~60° 영역의 북아메리카 및 아시아 대륙 중부와 동부는 극기단과 열대기단이 충돌하는 지역이며, 더운 여름과 추운 겨울로 기온의 연교차가 크게 나타난다.

Df 기후 지역에서는 여름에 전선성 저기압에서 발생하는 대류성 강수가 주를 이루어 지역에 따라 하계다우(夏季多雨) 형태를 띠기도 하나 대체로 고른 강수분포를 보인다. 겨울에는 눈으로 강수현상이 나타나며 북쪽 지역에는 1~4개월 동안 계속 눈이 쌓여 있기도 하다. 때때로 이 눈은 강한 전선성 저기압에서 발생하여 강풍과 함께 눈보라로 내린다. 연강수량은 500~1,250㎜이고 남쪽과 고원지역에 많다. 겨울은 대체로 추워 1~6개월가량이 영하의 기온을 나타내나 극기류와 열대기류의 주기적인 유입에 의해 차갑고 온화한 날씨가 반복된다.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은 대륙성 습윤기후(Dwa, Dwb)의 계절변화가 나타나, 온난다습한 여름과 한랭건조한 겨울이 반복된다.

대륙성 아북극 기후(Dfc, Dfd, Dwc, Dwd)

대륙성 습윤 기후 지역의 북쪽에 위치한 북위 50~70° 영역의 알래스카와 뉴펀들랜드, 스칸디나비아 북부에서 시베리아까지는 대륙성 아북극 기후 지역이다.

이 지역은 길고도 매우 추운 겨울과 적은 강수량, 낮은 습도로 특징지어진다. 아시아에서는 평균온도가 -40~-50℃나 되는 시베리아 고기압이 형성되며 북아메리카에서는 그 정도까지 기온이 하강하지 않아도 매우 춥다. 연중 무상일수(無霜日數)는 50~90일로 짧으며, 여름은 짧고 온화하여 평균기온 16℃를 거의 넘지 않는다.

기온의 연교차도 30℃ 이상으로 크며 시베리아 평원에서는 60℃가 넘는다. 연강수량은 500㎜ 이내로 대부분이 여름철의 이동성 저기압에 의한 강수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쾨펜의 C형과 D형 기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