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미상 |
---|---|
사망 | 미상 |
요약 축일은 5월 26일. 2세기 초반에 활동한 성인.
최초의 그리스도교 호교교부(護敎敎父)로 알려져 있다. 4세기의 학자 카이사레아의 에우세비오스가 쓴 〈교회사 Ecclesiastical History〉 안에 콰드라투스의 저작 〈그리스도교를 위한 변명 Apology for Christianity〉의 단편이 남아 있으나, 콰드라투스가 누구인지는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소아시아에서 124(또는 129)년의 그리스도교 박해기에 로마 황제 하드리아누스에게 바친 이 글은 2세기 초반 동방교회 교부인 안티오크의 이그나티우스와 스미르나의 폴리카르의 제자가 쓴 것으로 추측된다. 5세기의 성서학자 히에로니무스는 이 글의 저자를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 재위기(161~180)에 살았던 아테네의 콰드라투스 주교라고 잘못 지적했다. 유세비우스는 이 글의 저자가 예수의 12사도의 제자이며 예언자라고 주장했는데 이 주장도 사실일 가능성이 없다. 최근의 학자들은 불확실하지만 콰드라투스의 〈그리스도교를 위한 변명〉을 우상숭배와 유대교에 반대하는 2세기 그리스도교의 논문 〈디오그네투스에게 보내는 편지 Letter to Diognetus〉와 동일한 것으로 보고, 초기 그리스도교 순교자에 대한 익명의 해설서들과 관련짓거나 발람과 요자밧 전설로 알려진 수도생활에 대한 중세 초기 찬양문의 일부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에우세비오스의 〈교회사〉에 따르면, 콰드라투스는 〈그리스도교를 위한 변명〉에서 그리스도교에 대한 날카로운 공격에 맞서는 글을 썼다. 또 이에 따르면 〈그리스도교를 위한 변명〉은 그리스도가 병든 사람을 고치고 죽은 사람을 살려내는(그중 몇 사람은 콰드라투스도 알고 있었음) 등의 기적을 근거로 그리스도 가르침의 진실성을 논증함으로써 근원적인 정통성을 주장했다.
이러한 성서 중심의 신학적 접근은 12사도 이후의 가장 오래된 교리의 전형적인 예이다. 콰드라투스의 〈그리스도교를 위한 변명〉 중 남아 있는 부분은 구트 스피트의 〈가장 오래된 변증론자들 Die ältesten Apologeten〉(1914)에 편집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