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컴벌런드

다른 표기 언어 Richard Cumberland
요약 테이블
출생 1631. 7. 15, 런던
사망 1718. 10. 9, 잉글랜드 케임브리지셔 피터버러
국적 영국

요약 영국의 신학자, 성공회 주교, 윤리철학자.

1658년 케임브리지에서 의학공부를 하다가 그만두고 노샘프턴셔의 사제관 브램턴 하우스에 들어갔다. 3년 뒤 12명의 케임브리지 공식 설교자 중 한 사람이 되었다. 1667년 스탐퍼드의 올핼로스 사제관에 들어갔다.

1691년 피터버러의 주교로 임명되었다.

컴벌런드는 당시 케임브리지에 살던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고대 히브리 유물에 큰 관심이 있었다. 1686년 논문 〈유대 화폐를 포함하여 그 도량단위와 무게단위의 재발견에 부치는 소론 : 고대와 현대 영국의 척도를 비교하면서 An Essay Toward the Recovery of the Jewish Measures and Weights, Comprehending Their Monies : by the Help of Ancient Standards Compared with Ours of England〉를 발표했다. 이와 비슷하게 〈고대 종족의 기원 : 최초의 국가성립 시대를 밝히는 시도 Origines Gentium Antiquissimae : or Attempts for Discovering the Times of the First Planting of Nations〉(1724)·〈산초니아토의 페니키아 역사 Sanchoniatho's Phoenician History〉(1720)는 〈구약성서〉와 연관된 역사적 사건들을 조명하려는 노력으로 나왔다.

두 논문은 사위 스퀘어 페인이 유고로 출판했다. 그러나 컴벌런드의 명성은 〈자연법에 관한 철학적 탐구 De Legibus Naturae, Disquisitio Philosophica〉(1672)에 의한 것이다. 토머스 홉스의 견해를 공박한 이 책은 네덜란드의 법학자이자 신학자인 휘고 그로티우스의 견해를 기초로 했다. 그로티우스는 문명국의 일반적 동의를 기초로 자연법의 확실성을 주장했으나 컴벌런드는 이러한 '공동 동의' 학설보다 더 엄격한 철학적 기초를 찾으려 했다. "우리의 유일한 구상과 목표는 자연법을 확립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법을 우리 자신의 타고난 이성·관찰·경험으로 의식한다"고 말했다. 홉스와는 대조적으로 그는 사람들이 자신의 개인적 이익보다 공동으로 선을 추구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만들어주는 확고부동한 자연법이 있음을 보여주려고 했다.

컴벌런드 사상의 핵심적인 특징은 수학적 성질을 도덕철학에 적용할 수 있다는 그의 믿음이다. 그는 공동 선의 추구가 "이성적 존재에 본래 어울린다"고 말했다. 이 적응 개념에서 수학의 합동개념과 유사한 점을 찾아볼 수 있다.

컴벌런드는 준(準)수학적 도덕성 또는 '도덕계산'을 개발하려 한 최초의 철학자 중 한 사람으로 제러미 벤담, 프랜시스 허치슨, 새뮤얼 클라크, 베네딕트 데 스피노자,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 등의 후대 윤리학자들에게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종교인

종교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컴벌런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