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카스

다른 표기 언어 Kashgar , 喀什
요약 테이블
위치 중국 신장웨이우얼 자치구 남서부, 타림 분지 서쪽
인구 506,640 (2015 추계)
면적 555.0㎢
대륙 아시아
국가 중국

요약 중국 신장웨이우얼 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에 있는 오아시스 도시.
(병). Kashi. (웨). K'ashih. 옛 이름은 카슈가르(Kashgar:또는 Kaxgar).

카스 지구의 행정중심지이며 현급 시이다. 타림 분지 서쪽 끝에 있으며, 바람에 의해 침적된 황토와 충적토로 이루어진 비옥한 오아시스에 있다.

오아시스는 카슈가르 강과 수많은 우물에서 물을 공급받는다. 이 지역의 기후는 매우 건조하여 연평균강우량이 100㎜밖에 되지 않는다. 비는 대부분 무더운 여름철에 내린다. 평균기온은 1월이 -6℃, 7월이 26℃이다.

카스는 옛날부터 주로 교역 중심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톈산 산맥[天山山脈]과 쿤룬 산맥[崑崙山脈]이 만나는 파미르 산맥 기슭에 자리잡고 있어 서쪽으로 우즈베키스탄·타지키스탄·키르기스스탄의 경계지역에 있는 페르가나 계곡과 남쪽으로 인도의 잠무카슈미르, 북쪽으로 우루무치[烏魯木齊]와 이리 강[伊梨河] 유역으로 이어지는 대상들의 교역로를 관장했다.

중국이 카스를 처음 지배한 것은 BC 2세기로, 간쑤 성[甘肅省]에서 쫓겨나 이 지역에 살고 있던 월지인[月氏人]에게서 빼앗은 것이다. 그러나 AD 1세기 월지인이 카스를 다시 점령하자 중국의 지배는 끝이 났다. 북부와 동부에서 쳐들어온 민족들 사이에 카스를 두고 뺏고 빼앗기는 혼란기가 한동안 이어졌다. 당대인 7세기말과 8세기초에 중국이 다시 이 지역을 점령했지만, 이 도시는 변방이어서 중국의 지배력이 거의 미치지 못했다. 752년 중국인들이 다시 후퇴한 후 돌궐과 위구르(10세기와 11세기) 및 서요가 잇달아 카스를 점령했다.

1219년 몽골족이 이 지역을 차지한 뒤, 중국과 중앙 아시아를 잇는 육상교통은 일찍이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번창하기 시작했다. 14세기말에 카스는 티무르족에게 약탈당했다. 그후로 수백 년 동안 수많은 전쟁으로 고통을 겪다가 1755년에 마지막으로 청(淸:1644~1911)나라에 점령되었다. 1862~75년에는 이슬람교도의 반란의 중심지였으며, 그뒤 이슬람교도인 야쿠브 베그 장군이 세운 나라의 수도가 되었다.

1928~37년 마중잉[馬中英]이 이끄는 또다른 이슬람교도의 반란이 이 지역에서 일어났지만, 이 지방의 군벌인 성스차이[盛世才]가 소련의 도움을 얻어 결국 이 반란을 진압했다. 그러나 중국의 중앙정부는 1943년에야 이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회복했다.

지도
카스
Kashgar, China Bebop Drone 2015-09-13T194539+0000 18F943

ⓒ wikimedia commons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아시아

아시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3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카스(Kashi)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카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