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카발리

다른 표기 언어 (Pier) Francesco Cavalli
요약 테이블
출생 1602. 2. 14, 베네치아 크레마
사망 1676. 1. 14, 베네치아
국적 이탈리아

요약 이탈리아의 작곡가.
본명은 Pier Francesco Caletti-Bruni.

잔 바티스타 칼레티 브루니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베네치아의 후견인이었던 페데리코 카발리의 성을 따라 그의 이름을 고쳤다. 1617년 오페라 〈오르페오〉의 작곡가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가 감독하던 베네치아의 산마르코 대성당의 성가대 가수가 되었다. 그후 여러 직위를 거쳤으며 1668년에 그곳의 총음악감독이 되었다.

전생애 동안 유럽 오페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디도네 Didone〉(1641)는 그의 가장 흥미로운 작품이고 1646년 파리에서 공연된 〈에지스토 Egisto〉는 프랑스 양식과 이탈리아 양식 간의 경쟁을 낳기도 했다. 극음악 작곡가로서 그는 소규모 현악 오케스트라를 사용했으며 숙련된 합창단을 필요로 하지 않았다. 독창자들이 함께 부르는 곡은 많이 쓰지 않았지만 그의 작품은 때로는 다카포 부분을 곁들인 형식적인 레치타티보 아리아의 시작을 보여주기도 했다. 화려한 의상과 사치스러운 무대 장치를 사용해서 오페라의 평탄한 느낌을 보완했는데 이것들은 극적인 힘과 유머를 더욱 돋보이게 했다.

이탈리아 전역에서 공연되기는 했지만 그의 드라마 페르 무지카(현재의 오페라가 형식적으로 완성되기 이전 이탈리아에서 음악극을 총칭해서 사용한 말)는 대개 17세기 베네치아에서 성행하던 대중 오페라 극장을 위해 특별히 작곡된 것들이었다. 42편의 오페라 가운데 27편의 오페라가 산마르코 대성당 박물관에 필사본으로 소장되어 있으며 그의 오페라 작품들의 공연·녹음·출판을 통해 그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일기도 했다. 〈에리스메나 Erismena〉와 〈오르민도 L'Ormindo〉가 음반으로 제작되었으며 그밖의 여러 작품들이 발췌·녹음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음악가

음악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카발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