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카메라리우스

다른 표기 언어 Joachim Camerarius
요약 테이블
출생 1500. 4. 12, 바이에른 밤베르크
사망 1574. 4. 17, 라이프치히
국적 독일

요약 독일의 고전 학자, 루터교 신학자.

카메라리우스(Joachim Camerarius)

ⓒ Johann Jakob Haid/wikipedia | Public Domain

종교개혁 때 프로테스탄트교도와 가톨릭교도를 중재했다. 1518년 에르푸르트에서 헬리우스 에오바누스 헤수스라는 인문주의 서클에 가입했으며, 후에 비텐베르크에서 필리프 멜란히톤의 제자이자 친구가 되었다(1521). 1535년 튀빙겐대학교의고전학교수가 되었으며 1541년 뷔르템베르크의 울리히 공의 명을 받아 라이프치히대학교를 재건했다.

그는 그리스 저자들의 글을 라틴어로 번역했고, 소포클레스·헤로도투스·호머·플라우투스·크세노폰의 글에 해설을 붙여 간행했다. 또한 라틴 시로 고전 문학에 대한 문답서 〈Praecepta honestatis atque decoris puerilis〉(1528)를 썼으며, 라틴어로 헤수스(1553)와 멜란히톤(1566)의 전기를 썼다.

1530년 아우크스부르크에서 〈Confutatio pontificia〉가 낭독될 때 멜란히톤과 함께 참석했고, 1555년 그곳에서 열린 의회에도 참석했다. 같은 해 뉘른베르크에서 오지안더에 대한 논쟁의 중재 역할을 맡았다. 1568년 막시밀리아누스 2세의 부름을 받고 빈으로 가서 황제의 자문과 오스트리아 교회 업무를 맡았다. 사후에 출간된 〈Epistolarum familiarum libri vi〉(1583)·〈Epistolarum familiarum libri v posteriores〉(1595)는 당시의 시대상을 연구하는 데 가치 있는 자료들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종교인

종교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카메라리우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