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카다피

다른 표기 언어 Muammar al-Qaddafi
요약 테이블
출생 1942, 리비아 수르트 근처
국적 리비아

요약 육군 대위였던 카다피는 1969년 9월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이드리스 왕을 물러나게 한 뒤 정권을 잡았다. 그는 군의 총사령관이 되었고, 또 리비아의 새로운 통치기구인 혁명평의회의장으로 뽑혔다. 1973년에는 모든 외국인 소유 석유 재산을 국유화했다. 또 그 자신이 믿고 있는 엄격한 이슬람교 규율에 따라 음주와 도박을 금지시켰다. 1974년 이후 카다피는 이슬람교 사회주의 사상을 신봉했다.
2011년 8월 반군이 트리폴리를 장악하면서 카다피 세력은 무너졌다. 10월 20일 카다피 친위세력의 마지막 거점도시인 수르트가 반군에 의해 점령당했고, 카다피는 현장에서 발견되어 죽음을 맞았다.

카다피(Muammar al-Qaddafi)

리비아의 군인 겸 정치가이다.

ⓒ Jesse B. Awalt/wikipedia | Public Domain

방랑 생활을 하는 베두인족 유목민의 아들로서 카다피는 리비아 사막의 한 천막에서 태어났다.

그는 재능 있는 학생이었으며 1963년 리비아대학교를 졸업했다. 독실한 이슬람교도이자 열렬한 아랍 민족주의자로서 일찍부터 이드리스 1세의 왕정을 무너뜨리기 위한 음모를 꾸몄다. 1965년 리비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뒤 꾸준히 진급했으며, 그동안 계속해서 동료 육군 장교들의 도움을 받아 쿠데타를 계획했다. 육군 대위 카다피는 1969년 9월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이드리스 왕을 물러나게 한 뒤 정권을 잡았다. 그는 군의 총사령관이 되었고, 또 리비아의 새로운 통치기구인 혁명평의회의장으로 뽑혔다.

1970년 그는 리비아 내에 주둔하고 있던 미군 기지와 영국군 기지를 철수시켰다. 또 같은 해에 리비아에 살고 있는 이탈리아 사람들과 유대인 공동체 대부분을 추방했다. 1973년에는 모든 외국인 소유 석유 재산을 국유화했다. 또 그 자신이 믿고 있는 엄격한 이슬람교 규율에 따라 음주와 도박을 금지시켰다.

뿐만 아니라 리비아를 다른 아랍 국가들과 통합하려는 끈질긴 시도를 했으나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이스라엘과의 협상을 단호히 반대했던 그는 아랍 국가들 사이에 형성된 거부전선(rejectionist front)의 지도자가 되었다. 그는 군사 모험주의자로도 정평이 나 있다. 카다피 정부는 이집트와 수단에서 실패로 끝난 수차례의 쿠데타와 연루되어 있었고, 리비아 군대는 이웃나라 차드 공화국의 장기간에 걸친 내전에 끈질기게 개입했다.

〈녹색서 The Green Book〉(1976, 1980)라는 2권짜리 책에서 밝히고 있듯이 1974년 이후 카다피는 이슬람교 사회주의 사상을 신봉했다.

이러한 사상을 바탕으로 표면상으로는 국민의회나 노동단체, 다른 대중 조직체들을 통해 운영되는 인민정부 형태를 띠면서 동시에 산업국유화라고 하는 정책이 추진될 수 있었다. 한편 괴팍스럽고 예측할 수 없는 행동으로 인해 세계 무대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카다피 정부는 블랙 팬서와 미국 이슬람교 연합, 그리고 북아일랜드에 있는 아일랜드 공화국군 등 전세계의 다양한 혁명단체와 테러 단체들에게 재정지원을 해주었다.

리비아 정보 기관의 요원들이 외국 거주 망명자들의 암살을 수행했으며, 일설에는 팔레스타인 또는 다른 아랍 과격주의자들이 유럽에서 일으킨 몇 건의 유혈 테러 사건에도 리비아 정부가 연루되어 있다고 했다. 이러한 행동들은 그와 미국 정부 사이의 분쟁을 점점 심화시켜 마침내 1986년 4월 영국 주둔 미군 전투기들이 리비아의 몇몇 지역을 폭격했다. 이 폭격으로 카다피의 자녀들이 죽거나 부상당하기는 했지만 카다피 자신은 무사했다.

2009년 2월 카다피는 아프리카 연합(Africa Union/AU) 의장으로 선출되었고, 그 해 국제연합(UN)총회에서 생애 최초의 연설을 했다.

그는 UN을 비판하는 연설을 길게 한 후 UN헌장을 내던져 UN 가입국들 사이에 상당한 논란을 불러왔다.

인근 국가에서의 반정부시위로 지네 엘 아비디네 벤 알리 튀니지 대통령과 호스니 무바라크 이집트 대통령이 권좌에서 물러난 후인 2011년 2월, 반카다피 시위가 리비아 도시 벵가지에서 발생했다. 시위가 전국으로 퍼졌나가자 카다피 정권은 시위 군중을 폭력적으로 진압하려고 했다.

외국 정부와 국제 인권단체들은 시위자들에 대한 정부의 과격한 공격을 비난했다. 2월 22일에 카다피는 국영 텔레비전 방송을 통해 반정부세력의 배후에 알카에다가 있다고 주장했다.

2월말경 반정부세력은 트리폴리를 에워싸면서 리비아 영토 중 많은 지역을 장악했다. 카다피는 2월 28일 서방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리비아 국민들이 여전히 자신을 사랑한다고 주장하며, 정부가 시위군중들에 대해 폭력을 사용했다는 것을 부인했다. 카다피의 행보에 대한 국제적 항의가 커져갔지만, 그는 내전 초기 반란군들에게 빼앗겼던 지역 대부분을 되찾으면서 다시 내전에서 우세를 얻은 것처럼 보였다.

2월 26일 UN 안전보장이사회는 카다피 정권에 대한 처벌을 포함한 제재조치를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카다피 정부군이 벵가지 인근까지 진격하자, 3월 17일 UN 안전보장이사회는 시민들을 보호하기 위해 군사적 개입을 승인하는 결의를 채택했으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가 주도하는 군사적 개입이 시작되었다. 카다피와 그 가족들의 자산은 동결되었고, 4월 30일 트리폴리에서 카다피의 바브 알아지지야 관저에 대한 공중 폭격으로 카다피의 막내아들인 사이프 알 아랍과 손자 3명이 사망했다.

3월 초에 국제형사재판소(InternationCriminCourt/ICC)는 카다피와 그의 추종자들이 저지른 반인도주의 범죄행위에 대한 조사를 개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6월 27일 ICC는 카다피와 그의 아들 사이프 알이슬람과 정보기관 수장인 압둘라 사누시에 대한 체포영장을 발부했다.

2011년 8월 반군이 트리폴리를 장악하면서 카다피 세력은 무너졌다. 반군은 카다피를 죽이거나 생포할 경우 170만 달러 상당의 현상금을 지급하겠다고 내걸었다. 10월 20일 카다피 친위세력의 마지막 거점도시인 수르트가 반군에 의해 점령당했고, 카다피는 현장에서 발견되어 죽음을 맞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정치가

정치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카다피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