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침노린재류

다른 표기 언어 assassin bug

요약 노린재목(─目 Heteroptera) 침노린재과(針─科 Reduviidae)에 속하는 4,000여 종(種)의 곤충.

침노린재과는 전세계에 분포하며, 이 과에 속하는 종들은 좁고 긴 머리를 몸통에 연결하는 목처럼 생긴 가느다란 구조물을 갖고 있어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몸의 길이는 1~2.5㎝이다. 3마디로 된 작고 구부러진 주둥이는 앞다리 사이의 홈에 있으며, 먹이로부터 체액을 빨아먹는 데 쓰인다. 체색은 보통 흑색이거나 암갈색이지만 밝은 색을 띠는 종도 있다. 대부분 옥외에서 다른 곤충을 먹고 사는데 인간을 비롯한 척추동물의 피를 빨아먹고 질병을 전염시키는 종류도 있다.

침노린재과에서 가장 중요한 곤충 중의 하나는 키스벌레로, 'kissing bug'라는 영어 이름은 사람의 입 언저리를 무는 데서 연유한다.

검은 색의 이 곤충은 길이가 1.2㎝이고 대개 돌이나 수피(樹皮) 밑에서 볼 수 있으며 다른 곤충을 먹고 산다.

가면쓴사냥꾼벌레(Reduvius personatus) 역시 'kissing bug'라는 영어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미성숙 단계에서는 몸·다리·촉각이 끈적끈적한 털로 덮여 있으며 이 털이 실보푸라기와 먼지 같은 것을 잡아들여 마치 먼지 덩어리처럼 보이게 된다.

길이 1.5~2㎝의 흑갈색 성충은 보통 옥내에 서식하면서 빈대나 파리 같은 곤충을 먹는다. 이 곤충은 사람의 체액이나 피도 빨아 먹는데, 물리면 통증이 있다. 이 종은 중부 유럽이 원산지이지만 뉴욕 항을 통해 이입된 후 북아메리카의 남부 일대까지 퍼졌다.

잘 알려진 침노린재류 중의 하나인 원추형코노린재속(一屬 Triatoma) 역시 'kissing bug' 등 여러 영어 이름으로 알려져 있는데, 몸의 길이가 약 2.5㎝인 성충은 체색이 검고 복부 양쪽에 붉은 점이 6개씩 있다.

그 가운데 한 종인 트리아토마 상구이수가(T. sanguisuga)는 대개 침대에 서식하면서 사람의 피를 먹는다. 이 종은 마치 뱀처럼 물며 그것은 유독하고 통증을 느끼게 하는데, 물리고 나면 현기증이 나고 부어오르며 토하기까지 한다. 남아메리카산인 트리아토마 메기스타(T. megista)는 'barber beetle'('이발사벌레'라는 뜻)이라는 영어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며, 샤가스병과 트리파노소마증의 매개자 역할을 한다.

샤가스병은 남아메리카산 근연 해충인 로드니우스 프롤릭수스(Rhodnius prolixus)에 의해서도 전파되는 데 이 흡혈성 침노린재류는 곤충생리학적 연구에 많이 쓰이고 있다. 아시아 남부지역에서 오두막집의 마루에 살고 있는 트리아토마 루브로파스키아타(T. rubrofasciata)는 칼리-아자르를 옮긴다.

벌킬러(Pristhesancus papuensis)는 벌을 살생하는 벌레로 알려져 있는데, 꽃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꽃에 빈번히 드나드는 꿀벌이나 다른 곤충들을 잡아 그 체액을 빨아먹는다.

수레바퀴벌레는 흉부의 꼭대기에 눈금이 새겨진 융기(隆起)가 있는 것이 특징인데, 성충은 회색을 띠고 큰 편(약 2.5㎝)이며 약충은 붉은색 바탕에 검은 얼룩무늬가 있다. 북아메리카산인 수레바퀴벌레는 다른 곤충들을 먹고 사는데 이것에 물리면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되며, 유독성 타액(唾液)은 주둥이에 있는 홈을 통해 먹이의 몸 안으로 주입되고 먹이의 소화된 체액은 주둥이의 다른 홈을 통해 수레바퀴벌레의 위 속으로 전달된다.

실다리벌레는 길이가 약 3.3㎝이고 보통 나무나 오래된 건물 안에서 발견된다. 가운뎃다리와 뒷다리는 길고 실처럼 생겼으며, 짧고 굵은 앞다리는 바이스(vise) 모양으로 변형되어 파악기(把握器) 역할을 한다.

침노린재과의 동양산 종인 프틸로케루스 오크라큐스(Ptilocerus ochraceus)는 아주 독특한 방법으로 먹이를 잡아먹는데, 복부에 있는 붉은 털의 술로 개미를 유인하여 털에서 배출된 샘[腺] 분비물을 개미가 먹고 마비되면 주둥이를 개미 몸안에 넣어 체액을 흡수한다. 몸이 커다란 플라티메루스속(Platymerus)은 매우 효과적인 보호 수단을 가지고 있다.

이 속에 속하는 종들의 강력한 타액 펌프는 30㎝나 되는 거리까지 타액을 뱉을 수 있고 목표물을 정확하게 겨눌 수 있으며, 타액은 사람의 눈을 멀게 만들 수도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절지동물

절지동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침노린재류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