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치노 피스토이아

다른 표기 언어 Cino da Pistoia
요약 테이블
출생 1270경, 피렌체 근처 피스토이아
사망 1336/37, 피스토이아
국적 이탈리아

요약 이탈리아의 법학자·시인·산문작가.
본명은 Cino dei Sighibuldi.

돌체스틸누오보(dolce stil nuovo:청신체)로 쓴 시는 단테의 칭송을 받았으며 페트라르카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피스토이아의 귀족 집안에서 태어나 볼로냐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다.

피스토이아의 정치에 개입했다가 6년간 망명생활을 한 뒤 피렌체에 대사로 파견되었다. 1310년 하인리히 7세가 이탈리아에 와서 황제가 되자 그를 지지했으며, 1313년 그가 죽자 정치에서 손을 떼고 법학 공부를 계속했다. 유스티니아누스 법전 첫 9권에 라틴어 주석을 달아 큰 찬사를 받은 〈법전 강의 Lectura in Codicem〉를 완성하여 볼로냐대학교에서 법학박사학위를 받았으며(1314), 그뒤 시에나·볼로냐·피렌체·페루자·나폴리 대학교에서 법학을 가르쳤다. 1334년 피스토이아로 돌아와 그곳에서 여생을 보냈다.

치노는 돌체스틸누오보 시인 가운데 가장 많은 작품을 쓴 작가에 속하는데, 단테가 〈속어론 De vulgari eloquentia〉에서 이탈리아 최고의 연애시인이라는 칭송을 했음에도 후세의 비평가들은 이러한 평가를 받아들이지 않고 치노의 절친한 친구였던 구이도 카발칸티나 단테를 비롯한 이 시파의 다른 시인들보다 수준이 떨어진다고 평가하고 있다.

베아트리체가 죽었을 때 단테에게 써보낸 칸초네를 비롯한 몇몇 시는 전기(傳記)식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그같은 시는 내용이나 감정의 깊이보다 그 우아함으로 칭송을 받아왔다. 페트라르카는 치노를 그의 스승이라 칭했으며, 그의 죽음을 슬퍼하는 시를 썼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페트라르카가 자신의 시의 출발점으로서 치노의 주제 가운데 일부를 사용했다는 것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작가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치노 다 피스토이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