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양양 진전사지

다른 표기 언어 襄陽陳田寺址

요약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둔전리 설악산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절터.

강원도기념물 제52호이다. 이 절은 신라 선문9산의 효시가 되었던 가지산파의 시조인 도의선사가 창건한 것이다. 도의선사는 784년 당나라에 가서 지장선사에게 법을 배운 뒤, 821년(헌덕왕 13)에 귀국하여 설법했으나 당시 교종을 널리 믿었던 때라 받아들여지지 않자 이곳에서 40여 년 간 수도하다가 입적했다. 그뒤 그의 제자 염거를 거쳐 체징에 이르러 선풍을 일으키게 되었다. 그러나 이 절에 관한 역사는 전하지 않으며, 현재 폐사지에는 양양 진전사지 3층석탑(국보 제122호)과 양양 진전사지 도의선사탑(보물 제439호)가 있다.

진전사지3층석탑

진전사지3층석탑(통일신라), 국보 제122호, 높이 504cm, 강원 양양군 강현면 둔전리

ⓒ Daum 백과사전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양양 진전사지 도의선사탑

보물 제439호. 높이 317㎝. 사각형의 2층 기단 위에 연화대석이 놓여 있고 그 위에 팔각형의 탑신부와 상륜부가 있다.

지대석은 6매의 돌로 이루어졌으며 그 위에 있는 호형과 각형의 2단 굄이 기단부를 받치고 있다. 4매의 돌로 이루어진 하층기단에는 우주와 탱주가 새겨져 있고, 갑석의 윗면에는 호형과 각형의 굄이 있다. 상층기단에도 역시 우주와 탱주가 새겨져 있고, 갑석의 밑면에는 부연, 윗면에는 팔각형으로 된 3단 굄이 있다. 그 위에는 별석으로 된 8각의 연화대석을 얹었는데 그 아랫부분에는 단판의 16엽 연화가 조각되어 있다.

1968년 4월 연화대석의 윗면 중앙에서 방형의 사리공이 발견되었는데, 부도에 이러한 장치를 한 예는 현재까지 발견된 것이 없어 주목된다. 8각의 탑신에는 남면에 문비와 같은 전액만이 조각되어 있다. 8각의 옥개석 아랫면에는 깊고 널찍한 낙수홈이 음각되어 있다. 상륜부에는 연꽃봉오리 모양의 보주가 있고 하단에는 단판의 8엽이 앙련으로 돌려져 있다.

이 부도의 탑신과 옥개석은 신라시대의 전형적인 묘탑 양식인 8각원당형을 따르고 있지만, 2중의 기단과 기단부 위에 사리를 봉안하는 방식은 일반 석탑의 형식을 따른 것이다. 이 부도는 이 절을 창건한 도의선사의 묘탑으로 추정되고 있다.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양양 진전사지 3층석탑(襄陽陳田寺址三層石塔)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둔전리에 있는 진전사터에 세워진 석탑으로 대한민국의 국보 제122호이다.

ⓒ Eggmoon /wikipedia | CC BY-SA 3.0

국보(1966.02.28 지정). 높이 504㎝. 탑신부의 체감률과 비례는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 석탑 형식을 따랐으나 기단부와 1층 탑신에 조각을 하는 방식은 신라 하대에 유행한 석탑 형식의 일면을 반영한 것이다.

지대석 위에 있는 하층기단은 4매의 장대석으로 짜여져 있으며, 양쪽에 우주를 새기고 가운데에는 탱주를 새겨 2등분한 면에 각각 1구씩 모두 8구의 비천상을 조각했다. 천의를 휘날리며 연화좌 위에 앉아 있는 비천들은 자세, 손 모양, 지물 등이 다양하지만 마멸로 인해 세부의 특징을 알아보기 어렵다. 상층기단도 하층기단과 마찬가지로 탱주로 면을 2등분하고 8부중상을 입체적인 고부조로 조각했다. 8부중상은 구름 위에 앉아 있는데 신체의 균형이 잘 잡혀 있고, 갑옷과 천의 및 각종 장식이 섬세하고 미려하여 조각가의 뛰어난 기량을 엿볼 수 있다.

약간 파손된 부분이 있어서 명확하지 않지만 천(天)·야차·건달바·아수라·가루라·긴나라·마후라가 및 용(龍)의 불타8부중을 조각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 3층석탑의 8부중상과 동일한 양식을 보여주는 예는 선림원지3층석탑·보원사지5층석탑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탑신부의 옥신석과 옥개석은 각각 1매의 돌로 되어 있으며, 각 층의 옥신에는 우주가 새겨져 있다. 1층 옥신의 윗면 중앙에는 사각형의 사리공이 있고, 4면에는 앙련의 연화좌 위에 결가부좌한 4방불이 조각되었다.

이 4방불 가운데 동면에 약합을 들고 있는 약사여래와 서면에 설법인을 취하고 있는 아미타여래의 존명만이 확인되었다. 남면의 여래는 우견편단의 법의에 오른손은 무릎 위에 두고 왼손은 어깨 부분에서 바깥쪽으로 들어올린 형상이며, 북면의 여래는 오른손은 가슴까지 올리고 왼손은 밑으로 내리고 있다. 옥개석의 층단받침은 5단이고, 윗면에는 2단의 굄을 두어 옥신석을 받치도록 했다. 추녀 끝 네 귀퉁이 전각에는 풍경을 달았던 작은 구멍이 있다. 상륜부는 노반만 남아 있다.

1층 옥신에 조각된 4방불은 밀교의 5방불로부터 영향을 받은 조상으로 짐작되지만 현재로는 단언하기 어렵다. 우리나라의 4방불 조성은 삼국통일 이전에 이미 이루어졌지만 이처럼 탑신에 등장한 것은 신라 하대의 일로서 흔히 볼 수 있는 예는 아니다. 이 석탑의 기단과 1층 옥신에 8부중상과 4방불을 새긴 것은 신라 하대에 새로이 대두된 종교적 조형이념을 반영한 것으로 그 가치가 높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통일신라

통일신라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강릉 근교 여행지

추천항목


[Daum백과] 양양 진전사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