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지정학이라는 용어는 스웨덴의 정치학자 루돌프 헬렌의 저작 〈유기체로서의 국가〉에서 처음 나타났다. 이 용어는 제1·2차 세계대전 동안 중부 유럽으로 확산되다가 전세계적으로 사용되었다. 2차례의 세계대전 동안 지정학적 주장들은 특정 국가의 이해나 이데올로기를 변호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카를 하우스호퍼는 독일의 국제적 요구를 지정학적 필요성에 의거하여 정당화했는데 후에 나치는 그들의 목적을 합리화하기 위해 하우스호퍼의 이론을 이용했다. 과거에 국가의 영향력이 행사될 수 있는 범위는 1차적으로 지정학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었지만 오늘날 외교정책에서 그러한 요인들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낮아졌다. 왜냐하면 지정학적 위치와 장벽으로 인해 부과되었던 한계가 통신과 수송이 개선됨에 따라 극복되었기 때문이다.
지정학자들은 자연적인 국경선의 확립, 중요한 해상통로에 대한 접근, 전략적 요충지에 대한 통제 등에 대한 고려가 국가정책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는 것을 주장해 왔다.
지정학이라는 용어는 스웨덴의 정치학자 루돌프 헬렌의 저작 〈유기체로서의 국가 Staten som Lifsform〉(1916)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이 용어는 제1·2차 세계대전 동안 중부 유럽으로 확산되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전세계적으로 사용되었다. 2차례의 세계대전 동안 지정학적 주장들은 특정 국가의 이해나 이데올로기를 변호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예를 들면 카를 하우스호퍼는 지정학 월간잡지 〈지정학 잡지 Zeitschrift für Geopolitik〉에서 독일의 국제적 요구를 지정학적 필요성에 의거하여 정당화했다. 후에 나치는 그들의 목적을 합리화하기 위해 하우스호퍼의 이론을 이용했다.
핼퍼드 맥킨더 경은 〈역사 속의 지리학적 중심지 The Geographical Pivot of History〉(1904)와 〈민주주의의 이상과 실제 Democratic Ideals and Reality〉(1919)에서 국제정치의 중심지이론을 주장했다. 맥킨더에 의하면 유라시아 지역이 세계의 중심지이며, 민주주의 국가가 이 지역을 통제하는 것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과거에 국가의 영향력이 행사될 수 있는 범위는 1차적으로 지정학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외교정책에서 그러한 요인들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낮아졌다. 왜냐하면 지정학적 위치와 장벽으로 인해 부과되었던 한계가 통신과 수송이 개선됨에 따라 극복되었기 때문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사회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