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춘화

다른 표기 언어 春畵 동의어 춘화도, 운우도, 춘궁화

요약 춘화도·운우도라고도 하며, 중국에서는 춘궁화라고 불렀다. 노골적. 선정적 묘사로 춘흥을 즐기거나 성욕을 촉진시키는 목적으로 그려졌다. 채색과 담채를 사용하여 사실적으로 그려졌으며 판화로 제작되기도 했다.
BC 2세기경 한대의 재상 진평에 의해 시작해 당대에 창가의 머리병풍으로 많이 그려졌으며, 민간에 널리 보급되었던 것은 명대 후반부터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숙종 때 중국 '춘희자'의 대량 전래와, 명대·청대의 호색문화가 들어온 조선 후기에 유입되었고 19세기에 이르러서는 여항문인들을 중심으로 춘화에 관한 제화시가 읊어지기도 했다.
화풍은 대체로 김홍도와 신윤복의 풍속화의 영향을 짙게 보이고 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김홍도의 도인이 찍혀 있는 〈춘화사계첩〉 등이 있다.

춘화도·운우도라고도 하며, 중국에서는 춘궁화라고 불렀다.

'남녀교합지상'이나 '남녀상교지형'을 노골적이며 선정적으로 묘사하여 춘흥을 즐기거나 성욕을 촉진시키는 최음을 목적으로 그려졌다. 채색과 담채를 사용하여 비교적 사실적으로 그려졌으며 판화로 제작되기도 했다. BC 2세기경 한대(漢代)의 재상 진평과 BC 1세기경의 광천왕에 의하여 향락용으로 그려지기 시작했다. 당대에 창가의 머리병풍으로 많이 그려졌으며, 원대에는 몽골풍의 춘화가 유행되기도 했으나, 일반인들에게까지 널리 보급되었던 것은 호색문화가 크게 성행했던 명대 후반부터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시대 영조 때 현감을 지낸 박양한(朴亮漢)의 〈매옹한록 梅翁閑錄〉에 의하면 조선 중기 인조연간(1623~49)에 상아 조각품의 형태로 처음 전래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원나라 왕실과의 밀접했던 관계 등을 고려하면 늦어도 고려 말기부터는 왕실을 중심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본격적인 유입은 숙종 때 춘화가 그려진 중국 '춘희자'의 대량 전래와, 소설류를 비롯한 명대·청대의 호색문화가 들어온 조선 후기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19세기에 이르러서는 여항문인들을 중심으로 춘화에 관한 제화시가 읊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강한 유교적 윤리의식 때문에 중국이나 일본에 비하여 크게 성행하지 못했다.

조선 후기의 유품들은 대부분 낙관을 하지 않은 작자 미상의 것으로 묘사력이 전반적으로 떨어지고 성기부분의 과장과 같은 노골적인 장면도 드문 편이다. 화풍은 대체로 김홍도(金弘道)와 신윤복(申潤福)의 풍속화의 영향을 짙게 보이고 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김홍도의 도인이 찍혀 있는 〈춘화사계첩 春花四季帖〉(덕원미술관)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미술

미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춘화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