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688. 10. 19, 잉글랜드 레스터셔 서머비 |
---|---|
사망 | 1752. 4. 10, 서머싯셔 배스 |
국적 | 영국 |
요약 영국의 뛰어난 외과의사이자 해부학·외과학 교수.
〈인체해부학 Anatomy of the Human Body〉(1713)·〈뼈의 해부학 Osteographia, or the Anatomy of the Bones〉(1733)을 집필했다. 이 2권의 책은 1세기 동안 해부학 교과서로 쓰였다. 체즐던은 그리스어와 라틴어로 고전교육을 받은 후, 1703년 레스터셔의 외과의사 윌크스 밑에서 견습을 했다.
그는 세인트 토머스 병원에서 해부학자인 윌리엄 코퍼와 외과의사이자 절석술자(切石術者:방광결석 제거의 전문가)인 제임스 페르너의 지도하에 연구를 하기도 했다. 체즐던은 1711년에 이미 해부학 강사가 되었으며 1718년 세인트 토머스 병원에서 보조외과의사가 되었고, 다음해 그 병원에서 수석외과의사로 뽑혔다. 캐롤라인 여왕은 1727년 그를 왕실 담당의사로 임명했다. 1733년 그림이 훌륭하고 과학적으로도 정확하기로 유명한 골격의 도해서 〈뼈의 해부학〉을 출판했다.
체즐던은 카메라 옵스큐라(camera obscura:현대적인 카메라가 만들어지기 전에 사용했던 장치로 암실에 작은 구멍을 통해 역상으로 들어온 화면에 그림을 그리던 장치)를 사용하여 제판공인 반 데르 구트를 직접 도왔다. 체즐던은 빠르고 능숙한 수술로도 유명한데, 기록에 의하면 결석제거수술을 54초 만에 할 수 있었다고 한다. 1727년 외과의사로서는 처음으로 치골의 위쪽이 아닌 측면으로 접근하여 방광결석을 제거했는데, 이 방법은 곧 유럽 전역의 외과의사들에 의해 사용되었다. 다음해 수술로 맹인의 시력을 회복시켰고, 외과수술로 '인공동공'을 만들어 기능하게 함으로써 맹인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했다. 또한 귀머거리를 치료하기 위해 고막에 구멍을 뚫는 수술을 제안했으나 반대에 부딪혀 실험하지 못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과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