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체스터턴

다른 표기 언어 G(ilbert) K(eith) Chesterton
요약 테이블
출생 1874. 5. 29, 런던
사망 1936. 6. 14, 잉글랜드 버킹엄셔 비컨즈필드
국적 영국

요약 영국의 비평가·시인·수필가·소설가·단편작가.

호탕한 성격과 육중한 체구의 소유자로도 유명하다.

세인트폴 스쿨에 다닌 뒤 슬레이드 스쿨에서 미술을, 런던의 유니버시티 칼리지에서 문학을 공부했다.

1910년까지의 그의 작품은 크게 3종류로 분류된다.첫번째 부류는 대개 신문·잡지에 발표한 방대한 양의 사회비평인데, 이 글들은 〈피고 The Defendant〉(1901)·〈12가지 유형 Twelve Types〉(1902)·〈이단자들 Heretics〉(1905)로 엮어져 나왔다. 여기서 그는 보어 전쟁에 대해 보어인들을 지지하는 입장을 강하게 드러냈다. 정치적으로는 자유주의자로 출발했으나, 잠시 급진주의 쪽으로 기운 뒤 그리스도교도이자 중세 예찬자인 친구 힐레어 벨록과 함께 토지분배를 옹호하는 분배론자가 되었다.

그당시 그의 사상은 〈세상의 잘못된 점 What's Wrong with the World〉(1910)에 잘 나타나 있다. 2번째 부류는 문학비평이다. 〈로버트 브라우닝론(論) Robert Browning〉(1903)에 뒤이어 〈찰스 디킨스론 Charles Dickens〉(1906)·〈찰스 디킨스의 작품에 대한 감상과 비평 Appreciations and Criticisms of the Works of Charles Dickens〉(1911)을 썼는데, 이 2권의 디킨스론은 개개의 소설에 부치는 서문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그의 비평문 중 최고 걸작에 속한다.

〈조지 버나드 쇼론 George Bernard Shaw〉(1909)·〈빅토리아 시대의 문학론 The Victorian Age in Literature〉(1913)·〈윌리엄 블레이크론 William Blake〉(1910)과 그뒤에 쓴 학술논문 〈윌리엄 코벳론 William Cobbett〉(1925)·〈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론 Robert Louis Stevenson〉(1927) 등의 비평서들은 많은 학구적 비평가들에 앞서는 자연스러움을 지니고 있다. 3번째 부류는 신학과 종교논쟁이다. 1922년 성공회에서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한 그는 그전에도 〈정통 신앙 Orthodoxy〉(1909) 등의 책에서 그리스도교를 다루긴 했으나, 개종 뒤에 한층 날카로운 논쟁의 글을 썼다.

〈가톨릭 교회와 개종 The Catholic Church and Conversion〉(1926), 〈지 케이스 위클리 G. K.'s Weekly〉지에 발표한 글, 〈공언(公言)과 부정 Avowals and Denials〉(1934)에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개종을 계기로 쓴 그밖의 작품은 〈아시시의 성 프란키스쿠스 St. Francis of Assisi〉(1923), 역사신학 논문 〈영원한 인간 The Everlasting Man〉(1925), 〈성 토마스 아퀴나스 St. Thomas Aquinas〉(1933) 등이 있다.

선동적인 작품 〈레판토 Lepanto〉(1911)에서 볼 수 있듯이 그는 시 부문에서 발라드 형식의 대가였다.

그의 시는 배꼽을 잡게 할 정도로 우습거나, 아니면 당파색과 교훈적인 태도를 숨김없이 드러냈다. 그의 수필은 정말 가장 진지해야 할 부분까지도 불손한 태도로 교묘하고 역설적인 견해를 전개했다. 그는 〈다른 사람의 모자를 뒤쫓는 일 On Running After One's Hat〉(1908)이라든가 〈넌센스 옹호 A Defence of Nonsense〉(1901) 같은 수필에서 가장 즐거움을 느끼는 듯하다. 〈넌센스 옹호〉에는 넌센스와 진실이 '진리가 내뱉는 2가지의 지고한 상징적 주장'이라거나 '삼단논법으로 사물의 본질을 이끌어내는 것은 갈고리 하나로 거대한 짐승인 리바이어선을 끌어올리는 것만큼 불가능하다'라는 등의 내용이 실려 있다.

체스터턴의 소설은 많은 독자들에게 가장 높이 평가받는다.

런던 교외에서 벌어진 내전을 다룬 로맨스 〈노팅힐가(街)의 나폴레옹 The Napoleon of Notting Hill〉(1904)에 뒤이어 느슨하게 짜여진 단편집 〈별난 손님들이 모이는 술집 The Club of Queer Trades〉(1905)과 인기 있는 우화소설 〈목요일의 남자 The Man Who Was Thursday〉(1908)를 발표했다. 그러나 소설을 사회적 가치판단과 결부시킨 가장 성공적인 예는 사제 겸 탐정인 브라운 신부를 등장시킨 연작 〈브라운 신부의 결백 The Innocence of Father Brown〉(1911)·〈지혜 The Wisdom……〉(1914)·〈불신 The Incredulity……〉(1926)·〈비밀 The Secret……〉(1927)·〈브라운 신부의 추문 The Scandal of Father Brown〉(1935)이다.

그는 H.G. 웰스, 쇼, 벨록, 막스 비어봄 등 다방면의 사람들과 우정을 나누었다. 1936년에 〈자서전 Autobiography〉이 나왔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작가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체스터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