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문화재 지정 | 국보(1990.05.21 지정) |
---|
요약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청자 매병. 1990년 5월 21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무늬는 가는 음각선만으로 잔잔하게 새겼는데, 어깨 부분에 꽃봉오리 띠를 둘러 구획을 짓고, 그 안에 연꽃덩굴무늬를 장식했다. 몸체의 4곳에 같은 간격으로 연꽃 가지를 큼직하게 새겼는데, 연꽃·연잎·연줄기·연밥으로 구성된 화려하고 사실적인 무늬가 돋보인다.
국보(1990.05.21 지정). 높이 27.7cm, 입지름 5.3cm, 밑지름 10.6cm. 작고 나지막한 아가리가 달린 고려시대의 전형적인 매병이다. 팽팽하게 벌어진 어깨가 부드럽게 흘러내리며 좁혀지다가 다시 살짝 벌어지는데, 전체적으로 당당하고 균형 잡힌 형태를 띠고 있다.
무늬는 가는 음각선만으로 잔잔하게 새겼는데, 어깨 부분에 꽃봉오리 띠를 둘러 구획을 짓고, 그 안에 연꽃덩굴무늬를 장식했다.
몸체의 4곳에 같은 간격으로 연꽃 가지를 큼직하게 새겼는데, 연꽃·연잎·연줄기·연밥으로 구성된 화려하고 사실적인 무늬가 돋보인다. 밑둥에는 겹 연꽃무늬와 번개무늬 띠를 둘렀다. 밝고 투명하면서 차분한 느낌을 주는 비색 유약을 전면에 고르게 칠했다. 굽바닥에 내화토 받침 흔적이 희미하게 남아 있으며, 한쪽 모서리에 '효문'이라는 도공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이런 파편들이 전라북도 부안군 유천리 가마터에서 발견된 적이 있어, 같은 곳에서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55길 60-16번지 삼성미술관 리움에 소장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청자 음각‘효문’명 연화문 매병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