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천산갑

다른 표기 언어 Pangolin 동의어 판골린, Pangolin, scaly anteaters
요약 테이블
분류 척삭동물문 > 포유강 > 유린목 > 천산갑과 > 천산갑속
서식지 사바나·열대우림·초원·삼림
무게 약 1.8kg~ 33kg
학명 Manidae

요약 주로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열대지역에 서식하는 유린목의 포유류. 몸은 털이 달라붙어 발달한 큰 비늘들로 덮여 있으며 깜짝 놀라면 몸을 둥글게 마는 습성이 있다. 몸길이 30~90㎝이고 몸무게는 5~27㎏이다. 얼굴의 양옆과 몸의 복부를 제외하고는 모두 중첩되는 갈색의 비늘로 덮여 있다. 야행성이며 주로 흰개미나 개미, 다른 곤충들을 먹는다. 한번에 1마리의 새끼를 낳아 어미가 키운다. 중국이나 아프리카에서 식용으로 사냥하기도 하여 개체수가 크게 줄고 있다.

개요

영어 이름 'pangolin'은 말레이어로 '구르다'라는 의미를 가지며, 이는 놀랐을 때 몸을 공처럼 마는 천산갑의 습성을 딴 것이다. 대개 천산갑과 천산갑속으로 분류되는 약 8종(種)의 천산갑은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열대지역에 서식한다.

천산갑은 이전에는 개미핥기·나무늘보류·아르마딜로와 함께 빈치목(Edentata)으로 분류되었다. 그 이유는 남아메리카에 살고 있는 개미핥기와 외형상 매우 닮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천산갑은 해부학적 특징에서 빈치류와 많은 차이를 보인다. 화석으로 처음 발견된 유린목은 뼈구조가 아프리카의 큰천산갑과 별 차이가 없었으며, 인도의 한 동굴에서 발견되었고 추정연대는 플라이스토세(약 1만~250만 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 1천산갑 정면 모습
    • 2천산갑

외형적 특징

천산갑의 두동장은 30~90㎝이고 몸무게는 5~27㎏이다. 얼굴의 양옆과 몸의 복부를 제외하고는 모두 중첩되는 갈색의 비늘로 덮여 있는데, 비늘은 털이 서로 달라붙어 이루어진다. 머리는 짧고 원추형이다. 눈은 작고 눈꺼풀이 두꺼우며, 주둥이는 길고 이빨이 없다. 혀는 마치 벌레 같으며, 25㎝까지 길게 늘릴 수도 있다. 다리는 짧고 5개의 발가락이 있는 발에는 날카로운 발톱이 있다. 꼬리는 몸체와 길이가 거의 같은데, 감을 수 있으며 뒷다리들과 함께 3각으로 몸을 받쳐준다.

    • 1천산갑 뒷모습
    • 2몸을 둥글게 만 천산갑

      천산갑은 놀라면 몸을 둥글게 마는 습성이 있다.

생태

아프리카검은배천산갑 및 귀천산갑과 같은 천산갑들은 거의 전적으로 나무 위에서 살지만, 아프리카의 큰천산갑 등은 육상생활을 한다. 천산갑은 전부 야행성이며 수영은 약간 할 수 있다. 육상생활을 하는 천산갑은 굴 속에서 지낸다. 천산갑은 주로 흰개미를 먹고 살지만 개미나 다른 곤충들도 먹는다. 이들은 후각에 의존해서 먹이를 찾으며, 앞발로 곤충의 보금자리를 헤친다.

포식동물에 대한 보호수단으로 이들은 커다란 항문선에서 악취가 나는 분비물을 배출하거나, 몸을 공처럼 구부려 비늘이 적을 향해 세워지게 하는 등의 방어수단을 가지고 있다. 천산갑은 겁이 많으며, 홀로 또는 쌍으로 지낸다. 대개 한번에 1마리가 태어나는데, 태어날 때는 부드러운 비늘에 덮여 있고 한동안 어미의 등에 탄 채 이동한다. 수명은 약 12년이다. 아프리카와 중국에서 사냥하여 고기를 먹거나 비늘을 약재로 쓰기도 하는데, 개체수가 크게 줄어 멸종위기에 이르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포유류

포유류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2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천산갑


[Daum백과] 천산갑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