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삼한 소국에서 천신에 대한 제사를 주관한 제사장.
〈삼국지〉 위지 동이전의 마한에 관한 기록에 의하면, 삼한 소국에서는 국읍에 각기 1명씩을 세워 천신에 대한 제사를 주관하게 했는데 이를 천군이라 했다고 한다.
고대사회 초기에는 제사와 정치의 기능이 분리되지 않은 제정일치가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생산력의 발전에 따라 사회가 분화되고 분야가 세분화되면서 차츰 정치와 종교가 분리되었다.
동이전에 의하면 삼한사회에서는 이미 장수·주수 등으로 표현된 지배자가 등장하여 자신의 영역을 정치적으로 지배하고 있었고, 종교는 전문적 제사장이라 할 수 있는 천군이 담당했다. 한편 전통적인 농경사회인 삼한에서는 매년 5월 씨뿌리기를 마치고 풍작을 기원하는 축제를 가졌으며, 추수가 끝나는 10월에는 추수감사제를 지냈다.
천군은 농사의 시작에서 수확에 이르는 이러한 모든 의식을 관장했는데, 이러한 역할은 무에서 한 단계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천군이 주재하는 제사행위가 이루어지던 별도의 장소를 소도로 보기도 한다.→ 소도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