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전통건축에서는 소목으로 짠 것은 창호, 대목으로 짠 것은 문이라고 한다. 여닫는 방법에 따라 여닫이·미닫이·미서기·들어열개 등으로 구분하는데 여닫이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창호를 짜는 방법에는 문틀과 막이를 90°로 맞대는 경우와 45°로 짜는 경우가 있다. 틀과 막이 앞면을 쌍사로 모양을 내고 모서리에도 실모·둥근모·쌍사모 등으로 모양을 내기도 한다.
창호를 문틀에 달 때에는 문틀에는 암돌쩌귀를, 문짝에는 숫돌쩌귀를 단다. 창호는 만듦새에 따라 판장문, 골판문, 맹장지, 도듬문, 살창 등이 있다. 살창은 살대에 창호지를 바르지 않아 공기가 통하도록 만든 창호이다. 창호의 문양에 따라 용자창, 아자창, 완자창, 정자창 등으로 나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호(戶)는 방을 드나들 때 사용하는 문이고, 문(門)은 집을 드나들 때 사용하는 대문을 말한다.
그러나 한국의 전통건축에서는 창과 문의 구별이 뚜렷하지 않으므로 일반적으로 소목(小木)으로 짠 것은 창호, 대목(大木)으로 짠 것은 문이라고 한다. 창호는 열고 닫는 방법에 따라 여닫이·미닫이·미서기·들어열개 등이 있다. 여닫이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문짝을 밖으로 밀어 여는 것은 밖여닫이, 안으로 잡아당겨 여는 것은 안여닫이라고 한다. 미닫이는 문지방과 문웃인방에 문짝이 드나들 수 있는 홈을 파고 이 홈에 문짝을 끼워 밀거나 잡아당겨 열고 닫도록 되어 있다.
미서기는 미닫이처럼 홈에 문짝을 끼우지만 2줄로 된 홈에 각각 1짝씩 끼워 밀어넣으면 2짝이 겹치게 되는 것이다. 들어열개는 보통 2짝씩 문짝을 접어 이를 들어 들쇠에 매달아두는 개폐법으로 된 창호이다.
창호를 짜는 방법에는 울거미를 이루는 선대와 막이를 단순히 90°로 맞대는 경우와 45°의 연귀맞춤으로 짜는 경우가 있다. 선대와 막이의 앞면을 쌍사로 모양을 내고 모서리에도 실모·둥근모·쌍사모 등으로 모양을 내기도 한다. 또한 여기에 짜넣는 살대도 모양에 따라 등밀이·장피살·투미리 등이 있다. 창호를 문틀에 달 때에는 돌쩌귀를 사용하는데 문틀에는 암돌쩌귀를, 문짝에는 숫돌쩌귀를 단다. 그러나 판장문(板長門)과 같은 무거운 문짝일 때에는 문지방과 웃인방에 둔테를 대고 문짝에 내민 장부를 이 둔테에 만든 장부구멍에 넣어 문짝들이 움직이도록 했다.
창호는 만듦새에 따라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판장문은 두께가 1.7촌 정도 되고, 폭이 좁고 길이가 긴 널판의 상·중·하 세 곳에 띠를 대어 1장의 넓은 판장처럼 만든 문으로, 보통 부엌이나 광의 출입문으로 사용했다.
골판문(骨板門)은 얇은 널판을 1장의 널판처럼 울거미와 띠로써 붙여 만든 문으로, 방의 덧문이나 대청의 뒷벽에 뚫은 창의 창호로 사용되었다.
맹장지[盲章子]는 가는 실대로 문울거미를 짠 다음 양면에 두꺼운 종이를 발라 빛이 투과하지 못하도록 만든 문으로, 방과 대청 사이의 지게로 사용되었다.
도듬문은 맹장지처럼 두꺼운 종이로 싸 바른 문이나 문울거미 부분만을 돋아나게 치장한 것으로 보통 방의 두꺼비집이나 두꺼비집 속의 미닫이 창호로 쓰였다.
불발기는 맹장지와 같은 문짝의 중앙에 4각형이나 피라미드형의 울거미를 짠 다음, 그 안에 정자(井字)·완자(卍字)·아자(亞字) 등의 살짜임새를 만들고 한쪽 면에만 창호지를 발라 환하게 만든 문이다. 방과 대청 사이에 달아 2짝씩 접어 들쇠에 매다는 들어열개식이다.
살창은 문울거미에 수직으로 꽂은 짧은 살대에 창호지를 바르지 않아 공기가 통하도록 만든 창호이다. 보통 부엌의 부뚜막 위쪽에 달아 조리할 때 생기는 연기나 김이 빠져나가도록 한 환기창이다. 그러나 창호지를 붙여 채광창으로도 사용한다.
띠살창[細箭窓]은 문울거미에 같은 간격으로 살대를 세로로 꽂은 다음, 가로로 위쪽과 아래쪽에는 5줄, 가운데에는 7줄을 짜넣은 창호로 방의 덧창호나 지게 등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문짝의 높이에 따라 가로살대의 숫자를 조절한다.
용자창은 한자의 용자(用字)를 살짜임의 무늬로 한 것으로 시원한 맛이 있어 사랑방의 창호로 사용되었다.
아자창(亞字窓)은 한자의 아자를 살짜임이 된 것으로 방의 창호로 널리 사용되었다.
완자창[卍字窓]은 한자의 卍자를 살짜임으로 한 창호로 방에 주로 쓰인다.
정자창(井字窓)은 한자의 정자를 살짜임으로 한 것으로 사찰·궁궐·향교 등의 창호로 널리 사용되었다.
빗살창은 살대를 45°와 135°로 짜넣은 창호로 사찰·궁궐·향교 등에 많이 사용되었다.
소슬빗살창은 30°·150°·90°의 세 방향으로 살대를 짜넣은 창호이며, 보통 이 살짜임을 바탕으로 꽃새김한 것을 소슬빗꽃살창이라고 한다.
숫대살창은 산가지[算木]를 늘어놓은 모양으로 살짜임이 된 창호이다.
귀갑창(龜甲窓)은 거북의 잔등 모양으로 살짜임이 된 것이다.
꽃살창은 빗꽃살·소슬빗꽃살을 바탕으로 꽃을 새겨놓은 창호로 궁궐·사찰 등의 전각에 사용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