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착시는 시각으로 나타나는 착각의 일종이다. 기하학적 착시는 물체의 크기·방향·각도·모양 등의 평면도형의 성질이 주위의 선과 형의 관계 속에서 다르게 보이는 것으로, 같은 길이의 수직선과 수평선이 다르게 보이는 현상 등이 있다. 달의 착시는 지평선 가까이에 있는 달·태양이 중천에 있을 때보다 크게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반전의 착시는 같은 도형이 보고 있는 동안 원근 등의 조건이 바뀌어 다른 도형으로 보이는 것으로, 루빈의 술잔 도형에서 여자의 얼굴이 보이는 현상 등이 있다. 물체 운동으로 일어나는 운동의 착시는 유도 운동 착시와 가현 운동 착시가 있다. 유도 운동 착시는 달밤에 구름이 빠른 속도로 흘러갈 때 달이 구름 사이를 빠르게 지나가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고, 가현 운동 착시는 영화에서 볼 수 있다.
시각으로 나타나는 착각의 일종으로, 시각적 착각이라고도 한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기하학적 착시, 달(月)의 착시, 반전의 착시, 운동의 착시 등이 있다.
기하학적 착시는 물체의 크기(길이·넓이)·방향·각도·모양 등의 평면도형의 성질이 주위의 선과 형의 관계 속에서 실제로는 다르게 보이는 것을 말한다.
대표적인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① 뮐러 리어 도형:똑같은 길이의 직선이 양끝에 붙은 화살표의 영향을 받아 길이가 달라 보이는 현상이다. ② 분트 도형:같은 길이의 수직선과 수평선이 다르게 보이는 현상이다. ③ 포겐도르프 도형:사선이 2줄의 평행선으로 중단되면 서로 어긋나 보이는 현상이다. ④ 쵤너 도형:평행하는 수직선들이 교차하는 사선으로 인하여 각각 비스듬한 선으로 보이는 현상이다. 이것은 방향의 변화에 따른 착시이다. ⑤ 자스트로 도형:같은 크기의 2개의 부채꼴에서 아래쪽의 것이 위의 것보다 커보이는 현상이다.
달의 착시는 달 또는 태양이 지평선 가까이 있을 때는 중천에 떠있을 때보다 크게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이것은 관찰자의 몸에 대한 방향관계에서 생기는 것으로서, 신체의 앞방향에 있는 것은 올려다보는 방향에 있는 것보다 크게 보이는 현상 때문이다. 반전의 착시는 다의도형(多義圖形)에 의한 착시라고도 하는데, 같은 도형이면서 보고 있는 동안에 원근 또는 그밖의 조건이 바뀌어 다른 도형으로 보이는 현상이다.
루빈의 '술잔' 도형에서 여자의 얼굴을 볼 수 있는 현상 등이 그 예이다.
운동의 착시는 물체의 운동에 의해 일어나는 착시로, 어떤 것이 움직이면 정지하고 있는 것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유도(誘導) 운동착시'와 자극을 공간내의 다른 위치에 계속적으로 제시하면, 그 자극이 처음의 위치에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가현(假現) 운동의 착시'가 있다. 전자의 예는 달밤에 구름이 빠른 속도로 흘러가는 것이 마치 달이 구름 사이를 빠른 속도로 지나가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에서 볼 수 있고, 후자의 예는 영화에서 볼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