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주술적 애니미즘이 어구 자체에 투영되어 나타난 것으로서 샤머니즘을 비롯한 고대 원시종교와 불교, 유대교의 신비주의 등에서 주문을 사용한 신앙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주문은 언어에 특정한 의미를 부여하기보다는 언어 그 자체를 신비화하는 언령신앙에 그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의미의 영역으로는 파악될 수 없는 존재의 근원에 다가가려는 인간의 시도로서 종교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특정한 개인이나 집단의 목적을 달성하려는 데에도 사용된다. 주문에 담긴 말은 고어인 경우가 많고 주문을 외는 사람 자신도 그 말의 뜻을 항상 이해하지는 못한다. 축복과 저주는 비슷한 말투로 표현되며 그 효과는 말 자체의 마력이나 초자연적인 존재의 거룩한 힘과 관계가 있다고 여겨지기도 한다.
주술적 애니미즘이 어구 자체에 투영되어 나타난 것으로서 샤머니즘을 비롯한 고대 원시종교와 불교, 유대교의 신비주의 등에서 이에 대한 사용과 신앙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주문은 언어에 특정한 의미를 부여하기보다는 언어 그 자체를 신비화하는 언령 신앙에 그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의미의 영역으로는 파악될 수 없는 존재의 근원에 다가가려는 인간의 시도로서 종교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특정한 개인이나 집단의 목적을 달성하려는 데에도 사용된다. 특정한 뜻을 잃어버린 어구를 무수히 반복함으로써 우주의 무한한 생명력을 체화하려고도 하며, 우주의 기본 질서를 압축적으로 표현한 글귀를 사용하기도 한다(→ 요술).
주문을 욀 때는 흔히 몸짓을 수반하며 정확한 암송이 초자연적인 힘을 발휘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암송이 정확하지 않으면 마법의 효력이 없어지며 주문을 왼 사람의 죽음을 초래할 수도 있다고 믿는 사회도 있다. 주문에 담긴 말은 고어인 경우가 많고 주문을 외는 사람 자신도 그 말의 뜻을 항상 이해하지는 못한다. 어떤 경우에는 의미는 없지만 귀에 익은 용어가 그 전통적인 가치 때문에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주문은 주문을 외는 목적과 명백하고도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갖는다.
상징적인 주문에서는 유추를 통해 구체적인 목적을 표현하고 예시하며 은유와 직유를 자유롭게 사용한다. 카누를 빠르고 아름답게 만들기 위해 행하는 마오리족의 주문이 좋은 예이다. 마오리족의 주문은 하늘을 나는 새가 얼마나 빨리 날며 갈매기가 얼마나 날쌘가를 이야기하고, 카누가 빨리 달릴 때 나는 소리나 파도가 출렁이는 소리 같은 의성어를 효과음으로 이용한다.
축복과 저주는 비슷한 말투로 표현되며 그 효과는 말 자체의 마력이나 초자연적인 존재의 거룩한 힘과 관계가 있다고 여겨지기도 한다. 말뿐만 아니라 축복받을 사람의 머리 위에 두 손을 올려놓는 따위의 몸짓도 축복 행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을 수도 있다. 해악이나 불운을 초래하기 위한 저주는 대개 타인을 겨냥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맹세·계약·협정과 관련된 저주는 약속을 어기거나 거짓말을 할 경우라는 조건으로 자신에게 돌아오기도 한다(→ 축도).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