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한국 전통악기 중 막진동 악기의 하나.
양면을 가진 납작한 북을 정방형 틀에 걸어놓고 북채로 쳐서 연주한다. 명칭은 연주자가 앉아서 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모양은 납작한 원통형이며 양면에 가죽을 대고, 북통에는 용의 무늬가 그려져 있고 가죽 둘레에는 화려한 도안을 그려넣기도 한다. 북채는 끝을 헝겊으로 두껍게 싸서 사용하며, 북의 한 면만을 친다.
〈고려사〉 악지나 〈악학궤범〉에는 이 악기에 대한 기록이 없으므로 언제부터 쓰였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김홍도의 〈무악도 舞樂圖〉에서 그 모습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조선 후기에 쓰인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무악도〉에 의하면 피리·대금·해금·장구·북의 여섯 잡이로 편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삼현육각 편성법이다. 지금은 삼현육각·관현합주·관악합주 등 음량이 큰 음악에 편성되며, 현악합주에는 쓰이지 않는다. 치는 법은 장구가 합장단이나 북편을 칠 때, 즉 장구가 북편을 칠 때 따라 치며 장단의 첫 박자 또는 강박에 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타악기
타악기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