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조중회

다른 표기 언어 趙重晦
요약 테이블
출생 1711년(숙종 37)
사망 1782년(정조 6)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후기의 문신.

조중회

조중회 영정, 〈한국명인초상대감〉에서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관은 함안. 자는 익장. 아버지는 대사간 영복이다. 이재(李縡)의 문인이다.

1736년(영조 12)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설서·검열을 지냈다. 1743년 정언으로 왕의 빈번한 사묘 참례를 간하다가 파직당했다. 1748년 부수찬이 되고 이어 부교리·수찬·헌납 등을 지냈다. 1750년 윤급(尹汲)을 변호하다 파직당했으나 곧 다시 기용되어 이듬해 사은 겸 동지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뒤 대사간·대사성·병조참의·영변무사·양주목사 등을 지냈다.

1762년 승지로 있으면서 왕세자(王世子 : 莊獻世子)가 뒤주에 갇혀 죽을 때 부당함을 극간하다가 무장에 유배되었으나 곧 풀려났다. 1770년 개성부 유수가 되었으며, 이후 도승지·이조참판·예조판서·함경도관찰사 등을 지냈다. 1777년(정조 1) 홍계희(洪啓禧)를 그의 스승인 이재의 사당에 배향하자는 의논이 일어나자 그 부당성을 지적하여 중지시켰다. 1779년 공조판서가 되고 이듬해 치사하여 기로소에 들어갔으며, 1781년 다시 이조판서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봉조하가 되었다. 시호는 충헌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조중회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