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조연현

다른 표기 언어 趙演鉉 동의어 석재, 石齋, 석제, 石濟
요약 테이블
출생 1920. 9. 8, 경남 함안
사망 1981. 11. 24, 일본
국적 한국

요약 <한국현대문학사>를 통해 한국의 근현대문학을 체계적으로 정립하는 데 이바지했다. 1948년 평론집 <문학과 사상>을 발간하며 우익 민족주의 문단의 선두에 섰다.

한국의 근대·현대문학을 체계적으로 정립하는 데 이바지했다. 호는 석제(石濟).

아버지 문태(文台)와 어머니 김복선(金福善) 사이에 맏아들로 태어나 1938년 배재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정태용 등과 동인지 〈시림 詩林〉을 펴냈다. 1940년 혜화전문학교에 입학해 조지훈 등과 사귀었으나, 이듬해 학생사건에 연루되어 학교를 그만두었다.

8·15해방 직후에는 조선문학가동맹에 대항하기 위해 김동리·서정주·곽종원 등과 조선청년문학가협회를 결성했으며, 〈예술부락〉을 주재하면서 본격적인 비평활동을 시작했다. 〈민주일보〉·〈민중일보〉 등의 기자를 거쳐 1950년 〈문예〉 편집장으로 활동했다. 1953년 한국문학가협회 평론분과위원장, 1954년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이 되었다. 1955년 〈현대문학〉을 창간하고, 1956년부터 서울대학교·성균관대학교·수도여자사범대학교(지금의 세종대학교)·숙명여자대학교 등에 출강했으며, 후진양성에도 힘써 추천을 통해 김우종·김상일·정창범·김윤식·천이두 등의 문학비평가를 배출시켰다.

1970년 한국예술문화윤리위원회 위원장, 1971년 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 1972년 국제 펜클럽 한국본부 위원장, 1973년 한국문인협회 이사장 등을 역임했고, 1970년 국제 펜클럽 아시아 작가대회와 1971년 세계작가대회에 한국대표로 참여했다. 1976년 현대문학사 사장, 1978년 한양대학교 문과대학 학장 등을 역임했으며, 1979년 동국대학교에서 명예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1981년 일본에 머물다 뇌졸중으로 죽었으며, 현대문학사장(葬)으로 안장되었다. 1982년 조연현문학상운영위원회가 조직되어 조연현문학상을 제정·시행하고 있다.

문학세계

1938년 시동인지 〈아 芽〉에 시 〈비 내리는 밤의 향수〉·〈창백한 정열〉 등과 1939년 〈매일신보〉에 평론 〈결별적에 답함〉·〈농민문학에 대하야〉 등을 발표해 문단에 나왔다. 해방직후 역사적·사회적 혼란에 자극을 받아 시보다 평론을 많이 발표했으며, 특히 조선문학가동맹측을 겨냥해서 쓴 〈논리와 생리〉(백민, 1947. 9)는 문단의 주목을 받았다.

1949년에 출판한 첫 평론집 〈문학과 사상〉에는 〈원죄의 형벌〉·〈근대 정신의 해체〉·〈자의식의 비극〉·〈허무에의 의지〉 등이 실려 있는데, 해방 후 사회적으로 어지러운 때에 문학의 자율성을 주장하고 급진적 선전문학과 견해를 달리 한 문예적 창조성을 중요한 비평적 논거로 삼았다. 이어 〈1949년도 문단총평〉(문예, 1950. 1)·〈서정주론〉(주간서울, 1950. 1)·〈민족문학의 당면과제〉(국도신문, 1950. 2. 8~12)·〈현실성과 예술〉(신천지, 1952. 1) 등을 발표하고, 1952년에 2번째 평론집 〈한국현대작가론〉을 펴냈다. 특히 1961년에 펴낸 〈한국현대문학사〉는 비평문학의 중요한 거점을 세운 책이다.

당대의 한국문학사가 정치적 판단에 의거한 공식의 나열이나 외래문학사조를 바탕으로 한 개념풀이 등을 주로 한 데 반해, 그는 문학사상을 바탕으로 가치창조의 비평을 확립하고자 했다. 한낱 사료에 지나지 않는 과거의 형태에 생명을 불어넣는 것이 문학사의 집필 태도이며 사명임을 강조하고, 또한 사실에 대한 충실보다 한국문학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애정을 중요시하고 나아가 서구 문학사조와 한국문학사를 비교·검토하면서 한국현대사의 특수성 및 부자연성과 후진성, 그리고 기형성을 지적하여 서구문학사조의 수입을 전후로 탄생한 한국시문학의 생성과정을 문헌 중심으로 분석했다.

1966년에 펴낸 〈한국신문학고〉에서는 한국 신문학의 몇 가지 중요한 문제를 제시하고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았던 사실을 지적하며 역사적으로 재평가했다. 그밖에 중요한 평론으로 〈한국 해방문단의 10년사〉(문학과 예술, 1954. 6)·〈염상섭론〉(신태양, 1955. 4)·〈논쟁의 주제와 그 행방〉(현대문학, 1965. 12~1966. 2)·〈문학평론 60년의 문제들〉(신동아, 1968. 8) 등이 있다.

저서로 〈문학개론〉(1951)·〈한국신문학고〉(1966) 등과 수필집으로 〈문학적 산보〉(1951)·〈문학적 인생론〉(1959)·〈여백의 사상〉(1962)·〈문학과 사회〉(1973) 등이 있고, 1977년에 〈조연현문학전집〉이 나왔다. 1963년 대한민국 문화포장, 1965년 대한민국 문교부 문예상, 1965년 대한민국 예술원상, 1970년 국민훈장 동백장, 1972년 3·1문화상 등을 받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작가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조연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