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조석문

다른 표기 언어 曺錫文
요약 테이블
출생 1413년(태종 13)
사망 1477년(성종 8)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 초명은 석문(碩門). 자는 순보(順甫). 아버지는 관찰사 항이다. 부인은 좌참찬 안숭선(安崇善)의 딸이다.

1434년(세종 16) 알성문과에 급제, 정자를 거쳐 집현전부수찬이 되었다. 그후 정언·이조정랑·홍주목사 등을 거쳐, 1455년(세조 1) 동부승지로 세조가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르는 데 가담함으로써 좌익공신(佐翼功臣) 3등에 책록되었다.

1457년 도승지가 되고, 1459년 조선이 여진족에게 관직을 수여한 것이 명나라와 문제가 되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주문사(奏聞使)로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어 호조참판이 되고, 창녕군(昌寧君)에 봉해졌다. 우찬성 겸 호조판서를 거쳐, 1467년 이시애(李施愛)의 반란이 일어나자 병마부총사(兵馬副摠師)로 출전하여 적개공신(敵愾功臣) 1등에 책록되었다.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올랐다.

1468년 왕명으로 노사신과 함께 1460년의 모련위 여진족을 정벌한 사실을 기록한 〈북정록 北征錄〉을 편찬했다. 예종이 즉위한 뒤 남이·강순의 옥사를 다스린 공으로 익대공신 3등에 책록되었으며, 1471년(성종 2) 임금을 잘 보좌하고 정치를 잘 했다 하여 좌리공신(佐理功臣) 1등에 책록되었다.

1476년 창녕부원군(昌寧府院君)에 봉해지고, 이듬해 영중추부사가 되었다. 과거를 3번이나 맡아 뛰어난 인재를 잘 뽑아서 칭찬받았으며, 세조가 매번 그를 내실에서 접견하여 국정을 의논하고, 때로는 어포(御袍)를 벗어주기도 하는 등 극진한 사랑을 받았다. 시호는 공간(恭簡)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조석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