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1920~30년대 일제에 저항하여 함경남도 정평군에서 전개된 혁명적 농민조합운동. 본래 정평군은 자작농업을 중심으로 하고 있었는데, 공황으로 인해 일제의 압박이 심해지자 영세 농민들은 파산하고 사회주의자들은 한편에서 강습이나 청년회 활동을 이끌었다. 1926년 제로회를 시작으로 농민·청년동맹이 잇달아 생겨났으며, 한봉적이 귀국하면서 동맹의 강령 등은 정치적으로 개정되었다. 이에 일제가 동맹의 집회를 금지하기 시작했고 이를 피해 농민동맹은 정평농민조합으로 개편되어 간부들의 이론적 지도를 받았다. 이후 농업과 관련된 소작료 감면이나 소작권 이동 반대 등을 강령으로 삼던 농민조합은 1934년 조합원들이 검거되면서 해체되었다.
정평군은 1920년대 중반까지 자작농업이 중심이었으나, 일제는 지주간담회를 조직하여 지주경영을 강화하고 콩·쌀·고치 증산정책을 강요하는 한편, 모든 행정력을 동원하여 춘류·문림 수리조합을 설치했다. 그리고 농업공황으로 인한 쌀값 폭락과 수리조합비의 현금압박 등으로 영세 자작농들은 몰락하고, 대지주의 토지겸병은 더욱 심화되었다. 한편 한병락(韓炳洛) 등 사회주의자들이 중심이 되어 군내 야학강습소·정평청년회 등의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런 기반 위에 1926년 1월 사상단체인 제로회와 정평 프로 청년동맹이, 1927년 12월 정평청년동맹과 신간회 정평지회가, 1928년 2월 정평농민동맹이 잇달아 창립되었다. 특히 농민동맹은 강령·정책·운동방침 등을 정한 데 이어, 소비조합 촉성, 사유림 채벌 금지 반대, 축산조합 증축 등의 활동을 전개했다. 1929년말 일본노동조합전국평의회에서 활동을 해오던 한봉적(韓鳳適)이 귀향하여 계급투쟁·일상투쟁의 강화 등의 운동방향을 선전하면서 농민동맹·청년동맹 등의 강령·정책도 정치지향적으로 개정했다.
1930년 3월 농민동맹이 "노동자·농민의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 치안유지법 반대, 수리·삼림조합 반대, 일제타도" 등의 구호를 외치면서 시위를 벌이자, 일제는 모든 집회를 금지했다. 이에 농민동맹은 정평농민조합으로 개편하고, 위원장 원회극, 서기 이동선, 집행위원 김홍식·한목상·한복숙·김장렬 등으로 간부진을 구성했다. 특히, 6월부터는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간부 김태문(金泰文)이 귀향하여 농민조합을 이론적으로 지도했다.
농민조합은 서면대회를 통해 소작료 감면, 소작권 이동반대, 일본이민 반대 등 26개 항의 행동강령을 제정하고 군 내 9개면 133개리에 지부를 조직했다. 같은 해 8월 농민조합은 일제의 탄압을 피하고 교양선전, 정치적 대중운동을 전개하기 위해 비합법 조직으로 전환했지만, 다음해 1월 일제에게 주요간부들이 체포되어 59명이 실형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1931년 3월부터 군내 각 면에서 농민조합 재건운동이 벌어져, 다음해 7월 15일 한영윤을 책임자로 하는 정평농민조합재건위원회가 조직되었다. 이 조직은 정치·경제 투쟁을 강조하는 55개항의 행동강령을 정하고 반전 출판물 발행·살포 등의 항일운동을 전개했으나, 1934년 2월 400여 명의 조합원이 체포되면서 와해되었다.
이후 농민조합사건 출소자 한목상·김문환·이구훈 등이 1936년 2월 정평농민조합재건준비위원회를 다시 조직했으나, 2개월 만에 70여 명이 체포되었다. 이어 1937년 3월 한봉적·엄윤식·한병순 등은 정평농민조합 및 청진노동조합 조직지도기관을 결성하고, 다시 정평농민조합 재건운동에 나섰다. 이들은 같은 해 4월 정평농민조합지도기관을 만들어 2년 동안 100여 명의 조합원을 확보하고 반일·반전통일전선운동을 전개했다. 그러나 중일전쟁이 소련과의 전쟁으로 확대될 것을 예상해 그에 대비한 준비를 한다는 인식 아래 주목할 만한 운동은 못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일제강점기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