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정조

다른 표기 언어 貞操

요약 성적(性的) 순결을 지키는 일.

부권제(父權制)가 확립되면서, 특히 여성에 대한 성적 순결을 요구하면서 생겼다. 또한 여성이 남편에 대한 정절을 지키는 것을 여성 최고의 부덕으로 여기고, 심지어 여성이라면 정절을 목숨보다도 소중히 지켜야 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사회의 지배적인 믿음이 정조관념을 만들었다. 서양에서는 그리스·로마 시대에 이러한 정조관념이 있었고, 중세의 기사 사이에서도 엄격했다.

한국에서는 고려말 가부장제의 지배질서를 정당화시키는 도구로서 등장하여 유교사회인 조선시대를 통해 점차 강력한 이데올로기로 자리잡아왔다. 즉 고려말과 조선초의 신흥사대부층은 구지배계층의 이데올로기였던 불교의 경제적·사상적 기반을 박탈하여 새 지배계층으로서의 위치를 공고히 하려는 작업의 하나로 여성에 대한 정조를 강조했다. 특히 성종 때 와서 제정된, 재가(再嫁)한 여성의 자손이나 서얼에게 과거시험을 금하는 '재가녀자손금고법'은 정조관념의 강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과부재가금지법).

16세기 이후 유교 이데올로기의 재강화와 실천을 통해 양반지배체제의 불안정을 극복하려는 계급이익과 연결되면서 정조관념은 더욱 공고해졌다. 전통적인 유교사회에서 남편에 대한 아내의 정조는 과부가 되면 수절을 하거나 순절하는 것이 미덕으로 여겨졌고, 이러한 행동은 열녀로서 사회적으로 크게 칭송되었으며, 가문의 명예로 전해졌다. 지금도 시골에 가면 흔히 볼 수 있는 열녀문이 바로 그 산물이기도 하다. 현대에 와서 이러한 의미의 정조관념은 거의 사라졌지만, 그 대신 미혼여성의 성경험을 금기시하는 '순결 이데올로기'라는 형태로 변형되어 가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사회

사회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정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