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본래 모든 재예를 드린다는 뜻의 헌기에서 유래되었는데, 이것이 차츰 궁중무용의 대명사처럼 사용되었다. 정재에는 향악정재와 당악정재가 있는데, 향악정재는 전통 궁중무용을 말하며 당악정재는 고려 때 송에서 들어온 궁중무용을 말한다. 당악정재와 향악정재의 차이점은 당악정재는 긴 장대에 수술로 장식한 죽간자를 2명이 들고 무용수의 등장·퇴장을 인도하는 반면, 향악정재는 죽간자의 인도 없이 무용수들이 등장·퇴장에 인사를 하면서 시작과 끝을 마무리한다. 또한 당악정재에는 정재의 앞뒤에 노래로 불리는 치어와 구호가 있는 반면 향악정재에는 없다. 당악정재에는 춤추다가 중간에 노래부르는 창사가 순한문으로 되어 있는 데 반해 향악정재는 순한글로 되어 있다. → 궁중정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음악
음악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