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정동학습

다른 표기 언어 psychomotor learning , 精動學習

요약 환경으로부터 오는 감각신호의 변화에 대한 근육운동의 조직적인 발달양상.

걷기·악기연주·운동 등 조직적이고 의식적이며, 뇌를 사용하는 신체적 활동은 모두 정동기술이다. 이 기술은 전문화된 기계가 장치되어 있는 실험실에서만 정확하게 분석될 수 있다. 연구자들은 학습률 측정이 비교적 쉬운 발·팔·손·손가락 등의 통합운동을 주로 연구한다. 광범위한 숙련운동을 시험하기 위해 약 20가지의 기계적 장치들이 사용된다. 정확한 반응과 실수 확률, 손·발 동작의 범위, 속도, 강도, 반응시간 등의 점수가 수학적으로 계산되고 응용작업에 실험 대상자가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를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정동학습에 영향을 끼치는 동기화, 강화의 효율성 등 여러 변수에도 불구하고 연구가들은 강화된 훈련양의 수학적 함수에 따라 학습이 발달한다는 공식을 세웠다. 적절한 피드백(대상자에게 진행 상태를 알려주는 정보)이 필요하며 더 많은 피드백을 받을수록 학습이 빨라진다. 처음 몇 번의 연습기간 동안에는 속도와 정확도가 급속히 증가되지만 그후로는 더 연습을 할수록 점차 학습률이 떨어진다. 이 연구에서는 정동기술학습에 있어서 짧은 연습기간 사이사이에 휴식 기간을 두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결론지었다.

일반화 또는 전이라고 알려진 현상으로는, 1가지 기술은 관련된 기술을 배우는 개인의 능력에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보통 2가지 일이 서로 연관이 있을수록 더 쉽게 일반화된다(→ 훈련의 전이). 동작기술이 언어기술보다 더 쉽게 기억된다. 그 이유로 연구가들은 동작기술이 더 자주 반복되기 때문이라고 가설화했다.

쌍생아에 대한 연구는 지각력·공간력·운동능력이 유전에 의해 상당히 조절된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운동능력에 가장 영향을 끼치는 것은 나이이다. 5세부터 20대 후반까지는 매우 빨리 능력이 발달하며 그후 몇 년 동안은 제자리 걸음을 하다가 점차 하향세를 보인다. 성별 및 인종간의 정동학습 차이를 보여주는 연구는 아직도 논란의 여지가 많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환경적 요구가 수세대에 걸쳐 유전형질에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지적하면서 이러한 차이는 유전적 요소와 환경적 요소가 합쳐져서 생긴 것이라는 데 동의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생물

생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정동학습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