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미상 |
---|---|
사망 | 1298년(충렬왕 24) |
국적 | 고려, 한국 |
요약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나주. 초명은 흥. 자는 헌지. 아버지는 향공진사 송수(松壽)이다.
일찍이 천기(天琪)를 따라 서울로 왔는데, 의지할 곳이 없어 태부소경 안홍우(安弘祐)의 데릴사위로 들어갔다. 고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거쳐 1277년(충렬왕 3) 보문각대제(寶文閣待制)가 되었다. 좌사의대부로 있을 때에는 김방경(金方慶)이 홍다구(洪茶丘)에게 반역을 꾀했다고 모함을 받아 고문을 받고 귀양가자, 조정에서 일하는 것을 치욕으로 생각하고 고향으로 내려갔다. 그러나 곧 다시 비서윤으로서 필도치[必闍赤] 되었다. 승지로 있을 때 여러 도의 안렴사와 별감들이 임금에게 바친다는 구실로 백성들의 명주·저피폐·포·과실·명표지 등을 거두자 이의 시정을 요구했으며, 복위된 김방경이 퇴위하려 하자 이를 저지했다.
1290년 세자가 원나라에 갈 때 세자사(世子師)로 따라 갔는데, 그곳에서 원나라 황제에게 학문을 인정받고 한림학사·가의대부의 관작을 받았다. 1291년 첨의찬성사·세자이사를 지냈고, 1294년 원 세조가 죽자 왕명으로 제문을 지었다. 1296년 첨의중찬이 되었는데, 이때 세자의 명을 받아 공주의 궁려를 짓는 대토목공사를 일으켰다. 1298년 왕에게 퇴관을 청했으나 허락을 받지 못했다. 벽상삼한삼중대광 수사공(壁上三韓三重大匡守司空)의 관직이 더해졌으나 얼마 후 갑자기 죽었다. 그가 원 황제에게 올리는 표문 가운데 왕을 비난하는 뜻을 올려 근심이 되어 약을 마시고 죽었다고도 한다. 〈천추금경록 千秋金鏡錄〉을 편찬했으며, 정방에 있을 때 인재등용을 잘 했다고 한다. 충선왕의 묘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정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