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전태선

다른 표기 언어 全泰善
요약 테이블
출생 1867(고종 4), 평양
사망 미상
국적 한국

요약 독립운동가.

1909년 평양에서 목재상을 경영하고 있다가 이재명(李在明)의 을사5적 암살계획을 찬동하여 동지규합에 나섰다. 그해 11월 하순 이재명·김정익(金貞益) 등 8명의 동지와 함께 암살대상을 이완용과 이용구로 정하고, 그에 따른 구체적인 거사계획을 논의했다.

12월 6일 평양의 박태은(朴泰殷) 집에서 이재명·이동수(李東秀)·이응삼(李應三)·김병록(金丙錄)·김정익·조창호(趙昌鎬) 등과 다시 모여 이재명·김병록·이동수 등 3명은 제1차로 이완용을 암살하고, 김정익·조창호 등 2명은 제2차로 이용구를 암살하기로 결정하고, 그는 거사에 필요한 무기를 구입·운반할 책임을 맡았다. 오복원(吳復元)의 자금알선으로 권총 2정을 구입했고, 조창호가 김이걸(金履杰)을 통해 권총 12정을 구하자 그는 조창호와 같이 시중에서 권총 1정 및 실탄 100여 발과 비수 3자루를 구입하는 한편, 거사용 학생복도 구입하는 등 거사준비를 했다.

서울로 올라와 기회를 엿보던 중 12월 20일 이완용·이용구의 동정을 탐지하고 연락할 책임을 맡은 김용문(金龍文)으로부터 이완용이 12월 22일 오전에 벨기에 황제 추도식에 참례하기 위해 명동성당에 간다는 연락을 받았다. 12월 22일 오전 11시 30분 명동성당 앞에서 이재명이 추도식을 마치고 나오는 이완용과 그 차부를 비수로 찌르고 현장에서 체포되었으며, 그도 다른 동지들과 같이 일본경찰에 체포되었다. 1910년 5월 경성재판소에서 징역 10년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1963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전태선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