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전예출

다른 표기 언어 全藝出
요약 테이블
출생 1927. 12. 4, 황해 황주
사망 1996. 12. 8, 서울
국적 한국

요약 분장사.

영화·연극·오페라 등 1,000여 편에 이르는 작품의 분장을 맡아 40여 년 간 활동하면서 얼굴 화장 정도로 인식되었던 분장 분야를 예술의 차원으로 한 단계 발전시킨 한국 최초의 전문 분장사였다.

1927년 황해도 황주에서 태어난 전예출은 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했으나 졸업 후 황주중학교 교사로 부임해 국어·생물·미술 등을 가르치며 연극반 지도교사를 맡았다. 이때부터 연기지도와 분장을 시작한 전예출은 해방 후 우익청년단원으로 몰려 학교에서 물러난 뒤 비교적 사상적 영향을 덜 받았던 연극배우의 길로 접어들었다. 1955년 국립극단 배우가 된 그는 김성원·김동훈·양광남·오현경·김동원·장민호 등 당대의 배우들과 함께 연기생활을 했다. 배우의 꿈을 키우던 그는 1950년대말 영화 〈안중근 의사〉의 분장을 맡으면서 전문 분장인의 길에 들어섰다.

분장사라는 단어조차 생소해 일본에서 출판된 화장품 전문서적이나 화공학 책으로 공부해야 했던 전예출은 1961~88년 한국방송공사(KBS)·동양방송주식회사(TBC)를 오가며 방송국의 전문 분장사로 일했다. 분장사는 인체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골상학·세포조직·색채학·데생뿐만 아니라 조명·카메라에 이르기까지 종합적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고 늘 주장했던 그는 외국 작품의 경우에는 비디오테이프를 몇 번이고 되돌려 보는 것은 물론이고 분장기법을 정리한 자료집을 참고해 기법을 추적해 보는 등의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분장의 새로운 차원을 개발해 나갔던 그의 솜씨는 독립기념관에 제작된 임시정부요인 33인의 밀랍인형에서 유감없이 발휘되었다. 무려 6개월간 이 작업에 심혈을 기울였던 전예출은 현장작업 이외에도 서라벌예술대학·서울예술전문대학 등 대학의 연극영화과에서 분장이론을 강의했다. 후진양성에도 힘을 기울인 전예출은 체계적인 분장기술 발전을 기원하며 '전예출분장연구원'을 서울과 대구에 세워 현역으로 활동하는 분장사의 90% 이상을 배출했다.

1995년 민간 오페라 단장협의회에서 수여하는 공로상을 수상했으며, 참여 작품으로는 영화 〈백범 김구〉·〈황혼열차〉·〈김삿갓〉과 연극 〈대수양〉·〈아가씨와 건달들〉·〈오델로〉, 오페라 〈라보엠〉·〈춘희〉·〈원술랑〉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연극

연극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전예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