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통신문을 전기통신수단으로 전송하여 배달하는 서비스.
음성이 아닌 문자로 기록된다는 점과 이용자가 설비를 갖추지 않은 채 사용한다는 점에서 다른 전기통신 서비스와 다르다. 텔렉스·팩시밀리 등과 함께 전신이라고 불린다. 간단하게 이용할 수 있는 간편성, 재빠르게 전달되는 신속성, 기록이 종이 위에 남는 증거성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통신수단으로서 가장 먼저 이용되었다. 전보는 모스 부호의 발명자로 알려져 있는 S. F. B. 모스가 1837년에 제작한 전신기를 바탕으로 하여 정부·홍보·철도 등의 업무용으로 보급되었고 그후 일반에게 더욱 널리 이용되었다. 미국에서는 처음부터 민영사업으로 시작되었으나 그외의 많은 나라에서는 국영사업으로 경영되어 왔다.
한국의 전신업무는 1885년 8월 10일 서울과 인천 사이에 개설된 것이 처음이며 국제전신업무는 1913년 12월 1일자로 일본 도쿄[東京]와 개통된 것이 시초이다. 최근 들어 국내전보와 국제전보는 전화, 팩시밀리, 데이터 통신 등에 밀려 이용자 수가 크게 떨어지고 있다. 그대신 축하전보 등 의례적 전보의 이용 빈도가 늘고 있다.→ 전신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