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약칭은 조총련이다. 조총련은 일본의 제2차 세계대전 패전 직후 결성된 재일본조선인민주연맹과 1951년 결성된 재일본조선민주전선을 기반으로 1955년 결성되었다. 조총련의 중요한 기능으로는 일본과 국교가 없는 북한의 사실상의 공관 역할을 하는 외교적 기능을 들 수 있다. 소속 재일교포의 문제해결이나 일본과 북한 간의 교섭 창구로 나서기도 했으며, 출범 직후부터 북한에 대한 경제 지원을 지속해왔다. 그 외 재일동포에 대한 교육사업에도 역점을 두고 있다. 조총련은 초기에 민단보다 구성원이 훨씬 많았고 민단과는 달리 교포 2, 3세의 생활방식을 고유의 문화에 묶어두는 데 성공했으나, 최근 북송 재일교포 가운데 귀환자들의 북한에서의 생활상 등에 대한 부정적인 정보 등으로 점차 세력이 약화되고 있다.
약칭은 조총련이다. 조총련은 일본의 제2차 세계대전 패전 직후에 결성된 재일본조선인민주연맹과 1951년 결성된 재일본조선민주전선을 기반으로 1955년 5월 한덕수 등이 중심이 되어 결성되었다. 조총련의 조직은 도쿄[東京]의 지요다 구[千代田區]에 위치한 중앙본부 산하 전국 47개 도(都)·도(道)·부·현(縣)에 지방본부가, 시(市)·정(町)·촌(村)에 지부와 분회가 있으며, 그 산하에 상공연합회·청년동맹·여성동맹·교직원동맹·과학자협회·문학예술가동맹·조일수출입상사·동해상사·조선특산물판매회사·금강보험·근양해운·중외여행사 등의 사업체를 두고 있다.
조총련이 맡고 있는 중요한 기능으로는 일본과 국교가 없는 북한의 사실상의 공관 역할을 하는 외교적 기능을 들 수 있다.
조총련은 소속 재일교포의 문제해결이나 일본과 북한 정부 간의 교섭 창구로 나서기도 했으며, 1955년 출범 직후부터 북한에 대한 경제 지원을 끊임없이 해왔다. '애국상공'이라는 명칭으로 행해지는 경제지원은 무역거래에서부터 공장설립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북한지원 외에 재일동포에 대한 교육사업에 역점을 두고 있다. 조총련은 1990년 현재 소학교 85개교, 중학교 56개교, 고등학교 12개교, 대학교 1개교 등 모두 154개교를 운영하고 있다. 북한에서도 조직확장 사업의 일환으로 교육사업을 지원, 1957년 제1차 교육 원조금 1억 2,109만여 원을 보낸 이래 1990년까지 약 342억 원의 자금을 지원했다.
조총련은 초기에 재일본대한민국거류민단(민단)보다 그 구성원이 훨씬 많았고, 민단과는 달리 교포 2, 3세의 교제관계·취직·결혼에 이르는 생활방식을 고유의 문화에 묶어두는 데 성공했으나 최근 한국사회의 경제적 번영과 북송(北送) 재일교포 가운데 귀환자들의 북한에서의 생활상 등에 대한 부정적인 정보 등으로 점차 세력이 약화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