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재건주의 교육철학

다른 표기 언어 Reconstructed Philosophy of Education , 再建主義敎育哲學

요약 교육의 혁신과 변화를 통하여 현대의 문화적 위기를 극복하려는 교육철학.
개조주의, 문화적 재건주의라고도 함.

I. B. 버크슨, G. S. 카운츠 등이 진보적 사회개혁의 역할을 강조한 이래, T. 브라멜드에 의해 체계화되었다. 브라멜드는 〈교육철학의 유형 Patterns of Educational Philosophy〉(1950)의 후반부를 수정하여 1956년에 〈재건주의 교육철학을 지향하여 Toward a Reconstructed Philosophy of Education〉라는 글을 실었는데, 여기에서 기존의 진보주의·본질주의·항존주의 교육철학이 현재나 과거 중심이었다고 비판하면서 사회적 자아실현을 위한 미래 중심의 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의 주장은 1957년 소련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호가 발사되어 미국 교육이 근본적으로 비판받게 되면서 크게 주목받았다.

재건주의는 대학준비교육이나 직업훈련보다는 사회적 자아실현을 위한 일반교육을 중시하면서도, 교육과정에서 고전중심주의를 탈피하여 지역사회활동·집단역학(group dynamics)·기술문명에 대응하는 방법 등 다양한 내용이 제시되었다.

또한 새로운 세계상으로 풍요로운 경제체제, 통합적인 수단으로서의 국가, 대중의 복지에 봉사하는 과학, 자유롭고 창조적으로 표현되는 예술, 유아에서 성인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으로 시행되는 교육 등 사회 각 방면의 개혁을 요구하고 있다. 1960년 10월 브라멜드는 미국 국무부 파견 교육전문가로 한국을 방문하여, 한국교육학회의 후원으로 '세계의 위기와 미국의 문명' 등을 주제로 강연했고, 다음해 다시 내한하여 중앙교육연구소를 비롯한 각지에서 강연을 했다. 한국에서는 이때부터 재건주의 교육철학이 소개되기 시작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재건주의 교육철학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