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624(인조 2) |
---|---|
사망 | 1688(숙종 14) |
국적 | 조선, 한국 |
요약
1638년(인조 16) 왕비로 책봉되었다. 1649년 인조가 죽고 효종이 즉위하자 대비가 되었고, 1651년(효종 2) 자의의 존호를 받았다.
1659년 효종이 죽자 대왕대비가 되었는데 그의 복상문제가 정치적 쟁점이 되었다. 당시 집권파인 서인이 주장한 기년설과, 남인이 주장한 3년설이 서로 대립하여 치열한 당쟁이 벌어지고, 결국 송시열 등의 주장에 따라 기년복이 채택되어 서인의 세력이 강화되었다. 그 뒤 1674년 효종의 비인 인선대비 장씨가 죽자 그의 복상문제가 또다시 일어나, 서인은 대공설을 주장하고 남인은 기년설을 주장하여 당쟁이 일어났으나 남인의 주장이 채택되어 남인정권이 성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양주조씨로 아버지는 영돈녕부사 창원이며, 어머니는 대사간 철견의 딸인 전주최씨(全州崔氏)이다. 1638년(인조 16) 왕비로 책봉되었다. 1649년 인조가 죽고 효종이 즉위하자 대비가 되었고, 1651년(효종 2) 자의의 존호를 받았다.
1659년 효종이 죽자 대왕대비(大王大妃)가 되었는데 그의 복상문제가 정치적 쟁점이 되었다. 당시 집권파인 서인이 주장한 기년설과, 남인이 주장한 3년설이 서로 대립하여 치열한 당쟁이 벌어지고, 결국 송시열(宋時烈) 등의 주장에 따라 기년복이 채택되어 서인의 세력이 강화되었다.
그뒤 1674년 효종의 비인 인선대비 장씨가 죽자 그의 복상문제가 또다시 일어나, 서인은 대공설을 주장하고 남인은 기년설을 주장하여 당쟁이 일어났으나 남인의 주장이 채택되어 남인정권이 성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시호는 장렬이다. 능은 양주에 있는 휘릉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