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임칙서

다른 표기 언어 Lin Tsehsu , 林則徐
요약 테이블
출생 1785. 8. 30, 중국 푸젠 성[福建省] 후관[侯官]
사망 1850. 11. 22, 광둥 성[廣東省] 차오저우[潮州]
국적 청(淸), 중국

요약 임칙서는 영국과 중국 간의 아편전쟁(1839~42)을 촉발시킨 일련의 사건을 일으킨 인물로 유명하다. 중국의 전통사상과 제도의 활성화를 주창했는데, 이것은 나중에 자강운동으로 이어졌다. 뛰어난 조직가이자 야심 많은 관료였던 그는 영국과 중국 사이에 행해지던 아편 밀수입을 합법화하자는 조정의 의견을 상소를 올려 비난했다. 황제는 그의 상소를 받아들이고 아편 밀수의 중심지역이었던 광둥 성에 파견되었다. 그곳에서 아편밀수를 막기 위한 그의 업무수행은 지나치게 성공적이어서 중국에서 이권을 유지하려는 영국정부에 빌미가 되었다. 이로 인해 영국의 무력간섭인 아편전쟁이 발생했다. 황제는 그를 변방으로 좌천시켰다. 그러나 얼마 후 베이징에서 요직을 맡았다가 1850년 태평천국운동을 진압하러 가던 도중에 병사했다.

임칙서(林則徐)

중국 청나라 말기의 정치가이다.

ⓒ Spellcast/wikipedia | Public Domain

개요

영국·중국 간의 아편전쟁(1839~42)을 촉발시킨 일련의 사건을 일으킨 인물로 유명하다.

중국의 전통사상과 제도의 활성화를 주창했는데, 이것은 나중에 자강운동(自强運動)으로 이어졌다.

행정가로서의 입신

그의 아버지는 시골의 훈장으로 비록 가난했으나 자식들을 과거에 급제시키기 위해 유교경전의 기본을 가르쳤다.

당시 과거는 관리로 입신할 수 있는 유일한 출세 수단이었다. 둘째 아들이었던 임칙서는 뛰어난 재능을 나타내어 1804년에 향시(鄕試)에 합격했다. 이어서 푸젠 성 총독의 보좌관으로 선발되어, 그동안 받아왔던 추상적·도덕적·문학적 교육에 실제의 경험을 보태어 현실감각을 익히는 훈련을 받게 되었다. 1811년 전시(殿試)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으며, 황제에게 조언하고 문서의 초안을 작성하는 한림원(翰林院)에 들어갔다.

1820년 처음으로 정규 행정직을 맡게 되었고, 관료체제 내에서 가장 중요한 보직을 두루 거치면서 승진했다. 소금의 전매업무로부터 시작하여 여러 지방의 치수(治水)사업을 감독했고, 세금의 징수를 관장했으며, 지방의 판관으로 근무하기도 했다. 판관으로 근무할 때에는 명쾌한 판결로 인해 '임청천'(林靑天)이라는 존칭을 얻었다. 그는 뛰어난 조직가였으며 야심 많은 관료였기 때문에 빠른 승진을 할 수 있었다.

아편전쟁에서의 역할

아버지의 죽음으로 3년간 거상(居喪)하면서 반성과 문필활동을 한 후 중앙정부의 고관직으로 복귀했다.

1830년대 중반 도광제(道光帝)는 영국과 중국의 상인 사이에 행해지던 아편의 밀수입이 급증하는 것을 크게 우려했다. 그 이유는 첫째, 아편 수입이 밀무역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었고, 둘째, 거래형태가 비록 밀수입이기는 하나 그 대가는 은으로 치르게 되어 있어 중국의 은이 다량으로 유출된다는 점이었다. 이것의 해결방안으로 조정의 한편에서는 아편의 수입을 합법화하자는 의견이 나왔으나 그는 상소를 올려 이에 대해 맹렬히 비난했다.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 근거로 그는 자신이 총독으로 있는 후광[湖廣 : 후베이 성(湖北省), 후난 성(湖南省)] 지방에서 아편 밀수를 막기 위해 취하고 있는 조치들을 열거했다. 약 20년 동안 아편의 밀수를 억제하려고 노력했으나 별 성과를 거두지 못했던 도광제는 1838년말 그의 상소를 받아들이고 그를 흠차대신(欽差大臣)으로 임명했다. 이례적으로 황제와 19번에 걸쳐 독대(獨對)를 가진 후 그는 아편 밀수의 중심지역이었던 광둥 성으로 파견되었다.

이 시기에 그가 쓴 일기가 남아 있어서 당시 중국 관리의 근무상황을 생생히 전해주고 있다. 베이징[北京]에서 임지로의 험난한 여정, 황제가 내린 조칙을 맞아 광둥의 아열대성기후에도 불구하고 땀을 흘리며 머리를 조아려 예를 표한 일, 영국 상인과 관리들을 소환하여 엄중히 훈계한 일, 아편업자들에게서 받은 뇌물과 아편 그 자체에 중독되어버린 부패한 관리들에게 공무를 성실히 수행하라고 독려했으나 성과가 없었던 일, 압수한 아편을 바다에 버려 물을 더럽혔기 때문에 바다의 신에게 사죄의 글을 써서 바친 일 등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임칙서의 업무수행은 지나치게 성공적이었다.

그는 외국상인들이 가지고 있는 아편 전부를 압수하여 폐기시키고, 다시는 아편을 수입하지 않겠다는 서약서를 제출하라고 압력을 가했다. 이런 마찰에서 생긴 일련의 사건들이 중국에서 자국의 이권을 유지·확충하려는 영국정부에 빌미를 주어 무력간섭(아편전쟁)을 일으키게 했다. 그결과 영국군은 중국 남부의 도시들을 공격·점령했고, 임칙서의 아편 엄금론(嚴禁論)을 친히 승인했던 도광제는 그를 흠차대신에서 해임하여 북서쪽의 변방으로 좌천시켰다. 그곳에서 조용히 임무를 수행하고 있던 그는 얼마 후 베이징으로 소환되어 요직을 맡게 되었으며, 윈난 성[雲南省]의 이슬람교도 반란을 진압한 공로로 태자태부(太子太傅)에 임명되었다.

1850년 태평천국운동을 진압하러 가던 도중에 병사했다.

임칙서에 대한 평가

중국 역사에서 임칙서가 차지하는 비중은 그의 정치경력을 훨씬 뛰어넘는다. 그는 소수이지만 큰 영향력을 가진 개혁 지향의 관리학자 무리에 속했는데, 이들의 목표는 "옛 것에서 오늘날의 개혁에 대한 해답을 찾자"는 것이었다.

이 통치술학파는 실제의 외교행정에 이용하기 위해 지리·역사를 포함한 여러 분야의 외국 정보를 수집하려고 한 최초의 중국인들이었다. 그러나 당시 외국에 대해 가장 잘 알고, 많은 정보를 가졌다고 여겨졌던 임칙서도 자신이 광둥에서 아편 밀수를 금지시키고자 한 노력이 서유럽 열강의 무자비하고도 모욕적인 무력개입을 야기시켜 결과적으로 청조의 멸망을 초래하게 되리라고는 상상조차 하지 못했다.

그는 단순히 중앙 아시아의 이민족들에 대해 서로를 견제하게 하고, 상업적인 측면을 그다지 중요시하지 않았던 선대의 관리들의 전례를 따라 행동했을 뿐이었다. 그는 영국의 자유무역에 대한 요구와 동등한 권리의 주장, 특히 그 주장이 무력으로 뒷받침되고 있을 때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잘 이해하지 못했다. 자유무역과 동등한 권리의 주장은 영국이 꿈꾸는 상업제국의 기본 개념이었다. 이같은 개념은 중국이 세계의 가운데에 있고, 그 주변에 조공국가들이 있다고 생각한 중국인의 세계관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것이었다.

광둥의 임지에 도착한 후에도 임칙서는 영국이 중국에 의존해야만 살 수 있는 나라로 생각했고, 중국의 차와 대황을 수입해가지 못하면 영국 국민은 변비에 걸려 큰 고통을 받게 되리라고 굳게 믿고 있었다. 광둥에서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에게 편지를 보내어, 여왕이라면 이처럼 사람에게 해로운 물품을 수입하도록 허가하겠느냐고 반문한 뒤 영국 국민들이 아편을 중국에 들여오지 못하도록 금지시켜 달라고 요구했다. 임칙서가 엄격한 도덕적 태도를 취하면서 영국 상인들을 무자비하게 다루자 영국 정부는 모욕을 당했다고 트집을 잡았다. 그러한 과정에서 임칙서가 깨달은 유일한 사실은 이 야만인들에게서도 배울 것이 있으며, 그들의 기술을 도입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는 서유럽 열강의 위협을 이해하지 못했고, 동료 관리들의 나약함이나 보수파의 저항을 극복하지 못했다. 후에 일어난 자강운동에 그의 개혁안들이 채택되었다.

그보다 훨씬 뒷날의 혁명세대는 중국을 구하기 위해 전통문화의 일부를 포기하기는 했으나, 영국에 대항하여 보여준 임칙서의 용기와 태도를 높이 평가하여 그를 국민적 영웅으로 받들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정치가

정치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임칙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