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임상심리학

다른 표기 언어 clinical psychology , 臨床心理學

요약 주로 정신장애의 진단과 치료에 관심을 갖는 심리학 분야.

임상심리사

ⓒ Andrey_Popov/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임상심리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자신들의 기본활동을 심리진단·심리치료·심리연구 등 3가지로 분류한다. 진단에서는 심리검사의 실시와 해석, 그중에서도 특히 1번에 1명씩 실시되는 검사에 능숙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된다. 덜 공식적인 진단절차가 적용되기도 하는데, 특히 심리진단을 위한 면접이 그 예이다.

최근에는 내담자에게 적합한 기법들을 조합해 사용하는 절충적 접근경향이 두드러지지만 임상심리학자들은 흔히 사용되는 심리치료 형태 중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그중 상당부분, 즉 한때 정신과 의사들만의 전담사항이었던 심리치료처방이 지금은 정신분석가들도 할 수 있게 되었다. 비록 임상심리학자들의 일정이 꽉 짜여 있기는 하지만 연구 역시 그들의 의무로 여겨지고 있다. 임상심리학의 대표적인 연구주제로는 검사의 타당성, 치료기간 동안의 변화와 결과의 평가 연구, 정신장애의 원인에 대한 연구가 포함된다.

지역사회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상당수의 임상심리학자들은 병원과 임상진료소에서 직무를 수행하고 있다. 임상심리학자, 의사 및 사회사업분야 종사자들의 협력 형태는 제도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이들의 차이점은 심리치료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대부분의 심리치료 업무, 특히 행동요법은 임상심리학자가 맡기도 하고 정신과 의사만 맡기도 한다.

치료책임은 정신건강 전문가들 사이에 끊임없는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 임상심리학자들은 또한 기업체에 고용되어 정서장애에 걸린 피고용자에 대한 업무를 전문으로 맡기도 하고 작업의 스트레스와 인간관계 문제 등에 대처하는 일에 대한 심리학적 조언을 필요로 하는 경영관리자들을 위해 일하기도 한다. 또 임상심리학자들은 법정에서 일하면서 법적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학적 요인을 평가하기도 하고, 교도소·군대에서 일하기도 하며 교단에 서기도 한다. 이 모든 위치에서 많은 임상심리학자들은 연구에 종사하고 있으며 개업한 임상심리학자들도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심리

심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임상심리학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