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일현금

다른 표기 언어 monochord , 一絃琴

요약 눈금이 있는 소리통과 1줄의 현, 움직일 수 있는 줄받침으로 이루어진 악기.
manichord라고도 씀.

한 손으로는 현 아래에 있는 줄받침의 위치를 움직여서 음높이를 조절하고 다른 손으로는 피크(플렉트럼)로 현을 뜯는다.

BC 6세기경 그리스에서 음정 측정을 위한 과학적 도구로 사용되었고 이 악기에 대한 지식은 5세기 철학자 보이티우스에 의해 중세 이론가들에게 전파되었다.

이 악기에 대한 최초의 논서는 10세기에 나왔으며 11세기까지는 순수하게 악기로만 쓰였다. 처음에는 1줄의 현에 음길이를 다양하게 하는 키를 첨가해서 수정했으며 그후 현의 수가 첨가되었다. 14세기에 이르러서는 클라비코드로 발전되어 일현금이라는 명칭은 종종 클라비코드를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후에는 1줄 현을 가진 현악기인 트럼펫 마린과 동남아시아의 일현 치터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일현금은 18세기에 오르간 조율의 보조기구처럼 과학적·교육적 도구로 상당 기간 동안 사용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현악기

현악기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일현금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