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일산대교

다른 표기 언어 一山大橋 , Ilsan Grand Bridge

요약 한강을 가로질러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법곳동과 경기도 김포시 걸포동을 잇는 다리. 2008년 개통되었으며 주변 철새도래지를 보호하기 위한 친환경공법을 사용했다.

일산대교

경기도 김포시 걸포동과 경기도 고양시 법곳동을 잇는 다리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정의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법곳동과 경기도 김포시 걸포동을 연결하는 한강 횡단 교량.

역사와 특징

2003년 8월 착공하여 2008년 1월 완공되었다. 설계는 채과원, 시공은 대림산업·현대건설·대우건설이 맡았다. 당시 한강 교량 중 가장 서쪽에 있었으며, 경기도에서 시공한 교량 건설로는 처음으로 민자사업으로 추진되었다.

교량의 본선은 경량화된 고강도 강재를 사용하여 용접개소 및 부재개소를 최소화하여 구조를 단순화한 소수주형 판형교로 시공되었다. 이 공법은 가설이 간단하고 교량경관이 수려하며 공사비도 10~15% 저렴하다. 수상구간의 시공을 위한 가도 축조에도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고 환경오염이 없는 친환경 축조공법인 지오튜브(Geo-Textile Tube) 공법을 적용하여 외부 토사반입 없이 자체 하상 준설토로 제체를 설치하였다.

수도권의 대표적인 철새 도래지인 장항습지 및 야생동물을 보호하는 친환경적인 시공으로 철새보호를 위한 불빛 차단과 소음방지를 위한 방음벽 설치, 저소음 포장공법 등으로 도로 주변 소음환경을 개선하였고 교량 색채도 주변환경 및 철새들과 친근한 연두색을 썼다. 교량의 겉모습도 평범하고 교량 장식을 위한 시설을 일체 설치하지 않았으며 철새들의 편안한 수면을 위해 야간의 경관조명시설도 하지 않았다.

규모와 구조

길이 1,840m, 너비 28.6m, 왕복 6차로이다. 구조형식은 강상형교(steel box girder bridge)이며, 최대 경간장은 120m이다. 차량설계하중은 DB24(1등교), 통행기준 40t이다.

교통

일산대교의 개통으로 김포·강화 일대의 유적과 관광자원을 활용한 레저 시설이 활성화되고, 일산의 관광문화단지, 파주시의 통일동산·임진각 등과 연계한 개발과 접근성을 확보하여 지역의 균형발전을 촉진했다. 또한 대규모 신도시 건설로 생기는 경기 서북부지역의 교통난 해소와 교통체증 완화에 기여했다.

일산대교 북단에서는 자유로와 연결되어 한강 하류 방면과 양평 방면으로, 남단에서는 태장로와 연결되어 강화도 방면과 김포대교 방면으로 진출입이 가능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일산대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