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란어

다른 표기 언어

이란어는 고대·중세·근대 이란어군의 3가지 범주로 나뉜다. 고대 이란어 아베스타어와 고대 페르시아어는 BC 6세기에 만들어진 문헌과 비문을 통해 알려져 있다. 아베스타어는 이란 북동부에서 쓰였고, 고대 페르시아어는 이란 남서부 지역에서 사용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 두 언어 이외의 다른 고대 이란어도 존재했다는 증거가 있다. 메디아어가 그중 하나이다. 아베스타어는 조로아스터교 경전에 사용된 언어이다. BC 7~6세기에 자라투스트라(또는 조로아스터)가 지은 시는 현존하는 고대 이란어로 씌어진 것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고대 페르시아어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궁정 언어였고, 주로 다리우스 1세와 크세르크세스 1세의 설형문자로 씌어진 비문을 통해 알려져 있다. 아베스타어는 고대 이후에는 더이상 쓰이지 않았지만, 고대 페르시아어와 중세 페르시아어 사이에는 상당한 연속성이 존재한다.

중세 이란어에는 중세 페르시아어와 파르티아어가 포함된다. 사산 왕조(3~7세기)의 공용어인 중세 페르시아어는 3~10세기에 만들어진 조로아스터교 경전과 마니교 경전에도 사용되었다. 파르티아어는 이란 북동부와 북서부 지역에서 쓰였지만, 이 언어의 기록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이 두 언어는 서로 의사소통이 가능하지만 소그디아어·사카어·코탄어·크와레즈미아어·박트리아어 및 고대 오세트어를 포함하는 그밖의 중세 이란어와는 전혀 달랐다.

근대 이란어 가운데 지금까지 가장 널리 쓰이는 언어는 페르시아어이다. 중세 페르시아어의 한 방언에서 표준어로 발달한 페르시아어에는 다른 언어에서 차용한 낱말이 많다. 페르시아어(파르시어)는 이란의 공용어이며, 아프가니스탄의 제2언어로 인정받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의 국어는 동부 이란어인 파슈토어이다. 그밖에 근대 이란어에 속하는 쿠르드어와 발루치어는 여러 나라에 흩어져 사는 수백 만 명의 민족이 사용한다.

대체로 이란어는 명사 격의 수를 줄이고 동사활용 체계도 줄임으로써 인도유럽 조어에서 물려받은 굴절체계를 단순화했다. 이란어에 속하는 언어들을 표기하는 데는 수많은 다른 서체가 사용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이란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