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설립 | 1971년 |
---|---|
유형 | 사립 전문대학 |
설립자 | 박인덕 |
소재지 | 서울특별시 노원구 초안산로 12 |
사이트 | http://www.induk.ac.kr |
요약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있으며, 학교법인 인덕학원이 운영하는 사립전문대학. 1972년에 개교했다. 2012년 지금의 인덕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학훈은 ‘손과 머리로 무에서 유로’이다. 캠퍼스는 서울시 노원구 월계동에 소재한다.
개요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소재하는 사립 전문대학. 1972년 인덕예술공과전문학교가 인가를 받아 개교했다. 1979년 인덕공업전문대학으로 개편인가를 받았으며, 1998년 인덕대학으로 교명을 바꾸었다. 이후 2012년 2월 지금의 인덕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설립 이념
인덕대학교는 그리스도 정신을 바탕으로 한 봉사정신과 창조정신을 갖춘, 국가발전을 주도할 지도자를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훈은 ‘손과 머리로 무에서 유로’이다.
연혁 및 변천
인덕대학교는 1955년 9월 미국 워싱톤에서 육영사업을 목적으로 재단법인 부려재단이 설립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1962년 10월 학교법인 인덕학원이 문교부로부터 인가받았고 1971년 인덕예술공과전문학교가 인가받아 1972년 개교했다. 당시 공업디자인과, 상업디자인과, 생활디자인과 3개 학과가 개설되었고, 정원은 120명이었다.
개교 이후 꾸준히 새로운 학과가 신설되어 1990년 11월 방송통신과, 사무자동화과, 실내디자인과 등 다양한 학과가 개설되었다. 2000년 10월에는 평생교육원을 개원해 컴퓨터응용설계, 기계시스템, 인터넷·TV방송 등 5개 계열, 10개 전공, 9개 학과가 개설되었다. 2004년 3월에는 산학협력단을 설립했다.
2007년 9월 학과 계열 통폐합이 진행되어 만화전공과 애니메이션전공을 만화·영상애니메이션과로 통합했고, 3년제 8개과, 2년제 15개과, 입학정원 2,612명으로 개편되었다. 2011년 전문대학도 '대학교' 명칭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개정된 <고등교육법>에 따라, 2012년 2월 지금의 인덕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2013년 8월에는 한국 디자인진흥원 융합형 디자인 육성대학 사업에 선정되었고, 2014년 3월 전국의 전문대학 중 최초로 대학미술관인 아정미술관을 설립해 디자인 분야에 강한 인덕대학교의 장점을 더욱 강화했다. 2019년 12월 서울시가 주관하는 캠퍼스타운사업 중 종합형에 선정됐다. 2020년 3월 중소벤처기업부가 담당하는 초기창업패키지 사업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되었다. 2023년 12월 YBM과 상호협력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2024년 3월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사업에 선정되었다.
대학 조직
2025년 기준 대학은 스마트ICT학부와 스마트시티학부, 크리에이티브디자인학부, 방송문화콘텐츠학부, 글로벌비즈니스학부로 나누어져 있다. 부속기설으로는 대학교회·도서관·평생교육원·국제교류원 등이 있다.
현황
인덕대학교의 소재지는 서울특별시 노원구 초안산로 12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