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인공호흡법은 구강대구강호흡법이다. 구강대구강호흡법을 사용하는 사람은 환자를 누이고 입안의 이물질이나 점액을 제거한 후 아래턱을 앞으로 당기고 위쪽으로 들어올려서 기도가 열리게 한다. 그리고 자신의 입을 환자의 입에 대고 새지 않게 막고 코를 막은 후, 번갈아가며 환자의 입 안으로 숨을 불어넣었다가 환자가 내쉴 수 있도록 입을 뗀다. 실베스터가슴압박-팔올리기법이라는 방법은 구강대구강호흡법이 불가능할 때 사용한다. 환자의 얼굴을 위로 향하도록 누이고 어깨를 높여서 머리가 밑으로 내려가게 한다. 구조자는 환자의 머리 쪽에 무릎을 꿇고 얼굴을 마주대고 환자의 주먹을 쥐어 가슴에서 교차시킨 후 몸을 앞으로 굽혀 환자의 가슴을 눌렀다가 다시 몸을 뒤로 젖히면서 환자의 팔을 바깥쪽 위로 잡아당긴다.
이러한 기술을 빨리, 적절하게 쓰기만 하면 익사·질식·기관압박·호흡정지·일산화탄소중독·전기충격 등에 의한 사망을 일부나마 막을 수 있다. 인공호흡으로 소생시키는 과정은 주로 다음의 2가지 행위로 이루어진다. 상부호흡기(입·목구멍·인두 등)에서 폐까지의 기도를 막히지 않게 유지하는 것, 심장이 박동하는 동안 폐의 폐포 말단에 있는 이산화탄소와 공기를 교환시키는 것 등이며, 이 과정에서 성공하려면 가능한 한 빨리 인공호흡을 시작하고 희생자가 다시 숨을 쉴 때까지 계속해야 한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인공호흡법은 구강대구강호흡법으로 과거에 사용되던 손으로 하는 방법(흉부압박법)보다 더 효과적임이 증명되었다.
구강대구강호흡법을 사용하는 사람은 환자를 누이고 입 안의 이물질이나 점액을 제거한 후 아래턱을 앞으로 당기고 위쪽으로 들어올려서 기도가 열리게 한다. 그리고 자신의 입을 환자의 입에 대고 새지 않게 막고 코를 막은 후, 번갈아가며 환자의 입 안으로 숨을 불어넣었다가 환자가 내쉴 수 있도록 입을 뗀다. 환자가 어린이면 구조자가 환자의 입과 코를 다 덮고 할 수도 있다. 구조하는 사람은 환자의 입 안으로 매분당 12번 숨을 불어넣는다(어린이는 15번, 유아는 20번).
실베스터가슴압박-팔올리기법이라는 방법은 구강대구강호흡법이 불가능할 때 사용한다. 환자의 얼굴을 위로 향하도록 누이고 어깨를 높여서 머리가 밑으로 내려가게 한다. 구조자는 환자의 머리 쪽에 무릎을 꿇고 얼굴을 마주대고 환자의 주먹을 쥐어 가슴에서 교차시킨 후 몸을 앞으로 굽혀 환자의 가슴을 눌렀다가 다시 몸을 뒤로 젖히면서 환자의 팔을 바깥쪽 위로 잡아당긴다.
이 방법은 매분 12번 주기로 반복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건강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