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해랑

다른 표기 언어 李海浪
요약 테이블
출생 1916. 7. 22, 서울
사망 1989. 4. 8, 서울
국적 한국

요약 1938년 일본대학 예술과를 졸업하고, 김동원·주영섭 등과 동경학생예술좌에서 활동했으며 귀국 후 극단 극연좌(劇演座)에 가입하여 신인 연기자로 연극무대에 공식 진출했다. 그는 1989년 4월 8일 〈햄릿〉 공연 연습도중 갑자기 쓰러져 죽을 때까지 한국 현대연극에서 주역으로서의 자리를 차지했다.
대표적 친일 연극단체인 현대극장(대표 유치진)의 창립동인으로 활동했고, 8·15해방 직후에는 김동원 등과 함께 극단 전선 및 극예술원을 창립하여 본격적인 활동을 전개하다가 국립극장이 개관되자 전속 극단 신협의 대표를 맡았다. 예술원 회원(1954~87), 중앙국립극장장(1959), 드라마 센터 극장장(1962), 한국연극협회 부이사장(1963~67), 한국예술단체총연합회장(1967~73), 제8·9대 국회의원(공화당 전국구), 5·16민족상 이사(1971), 예술원 부회장(1981), 예술원 회장(1984~87) 등을 역임했다.

본명은 해량(海良). 1938년 일본대학 예술과를 졸업하고, 김동원·주영섭 등과 동경학생예술좌에서 활동했으며 귀국 후 극단 극연좌(劇演座)에 가입하여 신인 연기자로 연극무대에 공식 진출했다. 이어 대표적 친일 연극단체인 현대극장(대표 유치진)의 창립동인으로 활동했고, 8·15해방 직후에는 김동원 등과 함께 극단 전선(全線) 및 극예술원을 창립하여 본격적인 활동을 전개하다가 국립극장이 개관되자 전속 극단 신협의 대표를 맡았다. 예술원 회원(1954~87), 중앙국립극장장(1959), 드라마 센터 극장장(1962), 한국연극협회 부이사장(1963~67), 한국예술단체총연합회장(1967~73), 제8·9대 국회의원(공화당 전국구), 5·16민족상 이사(1971), 예술원 부회장(1981), 예술원 회장(1984~87) 등을 역임했다.

그는 1989년 4월 8일 〈햄릿〉 공연 연습도중 갑자기 쓰러져 죽을 때까지 한국 현대연극에서 주역으로서의 자리를 차지했다. 1937년 동경학생예술좌 〈춘향전〉에 농부역으로 처음 출연한 이후 친일연극 〈흑경정 黑鯨亭〉과 〈붉은 장갑〉·〈포오기〉·〈밤으로의 긴 여로〉·〈포기와 베스〉 등 100여 편의 작품에 출연했고, 극예술협회의 〈도란기 桃蘭記〉(1949)를 비롯하여 〈자유부인〉·〈느릅나무 그늘 밑의 욕망〉·〈다이알 M을 돌려라〉·〈인생차압〉·〈한강은 흐른다〉·〈뜨거운 양철지붕 위의 고양이〉·〈원술랑〉·〈햄릿〉 등 200여 편의 작품을 연출했다. 그는 주로 리얼리즘에 입각한 연극활동에 충실했으며, 창작극보다는 번역극을 선호했다.

추모사업의 일환으로 이해랑 연극론집 〈허상의 진실〉(1991)이 발간되었다. 서울특별시 문화상(1954)을 비롯한 대한민국예술원상(1963), 5월문예상본상(1964), 3·1연극상 개인상(1969), 국민훈장 모란장(1972), 동랑연극상(1985), 5·16민족상(1986) 등을 받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배우

배우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이해랑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