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한응

다른 표기 언어 李漢應
요약 테이블
출생 1874. 9. 21, 경기 용인
사망 1905. 5. 12
국적 한말, 한국

요약 한말의 외교관·순절의사.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경천, 호는 국은(菊隱). 아버지는 곤양군수 경호(璟鎬)이다.

1892년(고종 29) 관립영어학교를 졸업하고, 1894년 진사시에 합격했다. 1897년(광무 1) 한성부주사, 1899년 관립영어학교 교관을 지냈다. 1901년 3월 영국·벨기에 주차공사관 3등 참사관으로 런던에 부임했다. 1902년 10월 주영공사 민영돈이 귀국하자 서리공사가 되었다.

1904년 8월 제1차 한일협약이 체결되자 각국에 주재하는 한국 공사들에게 연락하여 재외한국공관이 공동으로 노력하여 주권 수호에 힘쓸 것을 호소했다. 1905년 일본의 한국에서의 지도·감독·보호를 인정하는 새로운 영일동맹(제2차 영일동맹)을 맺으려는 영국과 일본 간의 비밀외교가 진행되자, 이 조약이 동양 평화를 침해하는 것이라 하여 영국정부에 항의했으나 영국정부는 냉담했고 오히려 일본과 비밀리에 연락하여 그를 축출하려 했다. 이에 제1차 한일협약과 침략적인 영일동맹개정조약에 죽음으로써 항쟁하기로 결심하고 그해 5월 12일 음독 자결했다.

그의 자결은 국권 박탈에 대한 최초의 자결이었으며 〈대한매일신보〉 등 국내 언론기관에 상세히 보도되어 일제침략에 반대하는 민족운동을 불러일으키는 데 큰 계기가 되었다. 고종의 특명으로 시체가 국내로 옮겨져 용인에 안장되었다. 내부협판에 추증되고, 장충단에 제향되었다. 1962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과학자

과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이한응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